논문 상세보기

대구광역시 동구 가로수 조성 현황 및 관리 개선방안 KCI 등재

An Idea on the Status and Management Improvement of Street Tree in Dong-gu, Daegu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3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대구시 동구 가로수 식재환경 및 생육상태를 조사하여 가로현황을 파악하고 시민들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합리적이며 지속가능한 가로수 계획이 수립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현장조사를 통해 식재형식, 생육상태, 관리상태, 가로수 관련 민 원 등 가로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가로수의 선호하는 특성, 불 만사항, 정책선정 주요 기준, 심의위원회 필요성 등 가로수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에 대해 알 아보았다. 그 결과 2019년 9월 기준 대구시 동구 전역의 가로수는 대구 전체의 약 14%를 차지하 는 약 3만 1천701그루의 가로수가 식재되었고, 동구 가로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서는 긍정적 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특성으로는 ‘공해 및 병해에 강한 수종’ 을 선호하였고, 불만사항으로 는 ‘나무 열매로 인한 악취’ 를 선택하였다. 가로수 정책선정의 주요 기준으로는 ‘전문성’, ‘일관 성’, ‘객관성’, ‘주관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로수 관련 심의위원회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필요하다’ 고 응답하였다. 기존의 정책과 계획 수립과정에서 가로수 조성이라는 양적인 계획은 충분히 반영되고 있으나 이후 식재된 가로수에 대한 사후관리는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다. 또 한, 심의위원회의 부재와 기존 정책에서는 지역주민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함을 알 수 있 어 이 또한 추후 개선의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 여 가로수 조성계획에서부터 관리계획에 이르기까지 지속가능하며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함 과 동시에 향후 종합적인 가로수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lanting environment and growth status of street trees in Dong-gu, Daegu City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trees, and conducts a survey of citizens to find ways to establish a more rational and sustainable street tree plan. Basic data on street environment, such as planting type, growth status, management status, and civil complaints related to street tre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current status surve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e investigated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street trees, such as their preferred characteristics, complaints, selection criteria, and the need for a deliberation committee. As a result, as of September 2019, about 31,701 street trees were planted in all of Dong-gu, Daegu City, accounting for about 14% of the entire Daegu city, and the overall perception of Dong-gu street trees was positive. As a preferred characteristic,'tree species that are resistant to pollution and pests' was preferred, and as a complaint,'odor from tree fruits' was selected. The main criteria for selecting a street tree policy were ‘professionalism’, ‘consistency’,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an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necessary’ for the necessity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on street tre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xisting policies and plans, the quantitative plan of creating street trees was sufficiently reflected, but the follow-up management of the street trees planted afterwards wa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In addition, the absence of a deliberation committee and the existing policies show that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so there seems to be a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stainable and applicable plans from street tree creation plan to management plan, while providing basic data for comprehensive street tree policy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가로수에 대한 이해
    2.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범위
    3.2 야장 및 설문지 구성
    3.3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가로수 식재현황
    4.3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
    4.2 가로수 관련 의식조사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홍석(계명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생태조경학전공) | Hongseok Lee (Dep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 김수봉(계명대학교 공과대학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 Soobong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