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al Heritage Policy in Mongolia and Cultural Identity of Central Eurasia
작년 2019년 11월, 세계몽골학회(IAMS)와 사단법인 중앙아시아학회(KACAS)는 우리 나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세계몽골학회 제3차 아시아학술회의>를 열었다. 학술회의 주제는 ‘몽골의 문화유산-고고학과 문헌자료’였고, 세계 10개 나라의 몽골학 연구자 62인이 주 제발표를 하였다. 그 가운데 몽골정부의 문화정책 담당자 3인이 몽골의 문화유산정책과 몽골학 정책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몽골정부의 문화정책과 몽골학 정책에 대해 언급하고, 세계 각국이 개최한 전시사례를 중심으로 흉노, 튀르크, 위구르, 거란, 몽골제국 등 몽골의 문화자산을 바탕으로 중앙유라시아의 문화정체성을 어떻게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Nov. 2019,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ongolian Studies and Korea Association for Central Asian Studies have hel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ongolian Studies, The 3rd Asian Conference> in National Museum of Korea. There was 62 presentations from 10 country scholars participate in this conference. The main subject is ‘The Cultural Heritage in Mongolia- Archaeology and Historical Records’. Among the presentations, 3 official of Mongol government introduced about the policy of Cultural heritage and Mongolian Studies. So, I state Mongolian policy and then look for Special Exhibition about nomadic culture in many cuntries Cultural identity from Xiongnu Empire, Türk Empire, Ügur Empire, Kitan, Mongol Empire of Central Eur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