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隋代 도자의 西域 要素 계통과 출현 배경 KCI 등재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Western Elements of Porcelains in Sui Dynasty

수대 도자의 서역 요소 계통과 출현 배경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7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수대는 혼란스러운 남북조시기를 거쳐 전국 통일이라는 대업 하에 ‘수나라’만의 정체성을 지닌 도자문화의 탄생을 알리는 개시점이자, 이후 찬란했던 당대 도자를 위한 변혁의 시기로 규정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중국도자사에서는 수대 도자의 이런 특징을 독립적으로 보지 않고, 육조와 당을 이어주는 연결고리 정도로 여기거나 혹은 당과 묶어 포괄 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대 도자에 보이는 서역적 요소에 주목하여 육조시대 및 당대와 달리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았 다. 수대 도자에는 前朝에 이은 국제적 요소들이 확인되는데, 불교적 모티브와 胡甁·扁壺·角 杯 등의 이국적 기형, 외국인을 묘사한 陶俑 등이 여전히 강세를 보인다. 그 배경에는 세력의 확장 등을 목적으로 전대에 이어 서역과의 내왕이 더욱더 빈번해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양질의 고급 백자 생산은 수 왕조의 활발한 서역경영 배경 하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즉 초기 북방의 형요백자에 산화칼륨을 첨가한 방식은 산화칼륨을 조용제로 사용하는 수대의 유리 제조기술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 기술은 중국 본토 자생이 아니라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술의 영향과 함께 주목되는 점은 동지중해와 중앙아시아 미술의 전래와 융합을 통해 생성된 ‘신양식의 창출’이라는 점이다. 혼란했던 남북조 시기에도 서역과의 교류는 끊이지 않았기에 서역식 양식들은 중국 내지로 그대로 수용되어 왔다. 동로마 제국의 유리와 금은기, 소그드 미술에 보이는 입체적 장식 요소들은 도자로 번안되는 과정 중 그대로 답습되어 첩화방식으로 표현되었고, 이는 남북조 자기의 특징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수대에 들어서면, 점차‘응용’과 ‘변용’을 거쳐 인화 혹은 음각 등으로 대체되는 등 토착화가 진행된다. 또 그리스 신화의 요소 및 의미가 접목되면서 새로운 양식들로 재창조된 경향을 보인다. 이는 서역적 요소들을 직접 모방하거나 구현하려는 성향이 강했던 이전 시대와 다른 특징으로, 수대 도자에 보이는 새로운 시도이자 도전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chaotic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period, the Sui Dynasty began its own porcelain culture under the great task of national unification. At the same time, it can be defined as a period of change for the flourishing porcelains of the Tang Dynasty. However, until now in the history of Chinese porcelains, it has not independently 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i Dynasty, but rather regarded them as a link between the Six Dynasties and the Tang Dynas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Western elements that appeared in the porcelains of Sui Dynasty, and looked at what Sui Dynasty porcelains was different from Tang Dynasty and what its meaning was. First of all, porcelains of Sui Dynasty continues to be international following the previous dynasty. For example, Buddhist motifs, exotic forms such as Huping(胡甁), a Flat jar(扁壺), Rhyton, and pottery figurine(陶俑) to describe foreigners. The background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creased frequency of continually traveling to and from the West following the previous dynasties with the aim of expanding power. In particular,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white porcelain was based on the active Western management of the Sui Dynasty. The method of adding potassium oxide to the white porcelain of the early northern type is likely to have been influenced by Sui Dynasty's glass manufacturing technology, which uses potassium oxide as an auxiliary solvent. And this technology is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Sasan Dynasty Persia, not by the Chinese continent. What draws attention, including the influence of technology, is the creation of new styles created through the transition and convergence of Eastern Mediterranean and Central Asian art. Even during the chaotic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period, Western styles have been accepted into China as they continued to interact with the West.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ve features of the East Roman Empire glass, gold and silver ware, and the Sogdian art of the process of being transformed into porcelain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period porcelain. However, as the Sui Dynasty approached, the decorative techniques of Hellenistic and Sogdian art are believed to have gradually become indigenous through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In other words, there is a strong tendency in previous dynasties to imitate or implement Western elements directly. However, during the Sui dynasties,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were either replaced by engrave or printing techniques, or recreated in a new style with the addition of Greek mythological elements to Chinese porcelains. This can certainly be seen as a new attempt and challenge seen in the porcelain of the Sui dynasty.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隋煬帝의 서역경영
Ⅲ. 수대 자기 생산과 서역과의 교류
Ⅳ. 맺음말 : 동서문화교류 상의 의의
▌참고문헌
저자
  • 김은경(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Kim EunKyoung (Duks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