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제해결 스타일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와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The Impact of Problem Solving Style on Innovative Behavior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Core Self-Evaluation and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952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1.28.1.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기업이 경쟁에서 이길 수 없게 됨에 따라서 모든 조직들이 혁신을 간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조직혁신을 증진하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는 가운데, 개인 수준의 행동을 통해 조직혁신을 도모하고자 혁신행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탄생한 혁신 행동은 꾸준히 주목을 받아왔고, 그와 더불어 혁신행동을 증진하는 방안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최근 혁신행동에 대한 종합적 문헌연구를 실시한 Kwon & Kim(2020)의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개인특성의 중요성이 매우 낮게 다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특성과 혁신행동 간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를 간략히 살펴보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성격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었으나, 이외의 개인특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행동 연구 초기에 다루어졌던 개인 특성인 문제해결 방식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인특성인 핵심자기평가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리고 성격과 같은 개인특성과 혁신행동을 다룬 연구들은 혁신에 대한 성격의 주효과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지만, 특성활성화 이론에 입각하여 성격 등의 특성이 혁신행동으로 발현되게 하는 상황요인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 흐름에 따라서, 본 연구는 문제해결 스타일이 혁신행동으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관련 상황요인으로 상사지원에 주목하고,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특성활성화이론을 확장하여, 개인특성이 관련 행동으로 발현하는 과정에서 특정 개인이 이 관계를 증폭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핵심자기평가가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중국의 공기업에 근무하는 228명으로부터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문제해결 스타일의 두 하위 차원 중에서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만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핵심자기평가는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지만,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그리고 체계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 관계 모두에 대해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상사지원인 식은 혁신행동에 대해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고,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에 체계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 대해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놓고,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함의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s the competition among the firms, the conventional way of firms became useless for the competition and tried to search for innovation. In pursuing innovation, firm realized that firms’ innovation starts from individual members’ behaviors and created the concept of innovative behavior. Innovative behavior draw lots of attention and a large number of studies has been conducted up to now. Recent Kwon & Kim’s (2020) literature review on innovative behavior showed little attention to individual trait like personality. In this background, our study shortly reviewed on the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set the direction of this study. After short review, we found that there is not a few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innovative behavior but littl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personal traits except personality. So we focused on the problem solving style which drew the attention as antecedents of innovative behavior at early stage of research on innovative behavior and core self-evaluation which are suggested relatively recently and very limitedly studied as the antecedents of innovative behavior. The studies on personal traits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ir effects on consequences but also to the relevant situation that can activ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d trait relevant behavior following trait activation theory. In the vein, we also considered in the supervisory support as the potential moderating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style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empirical test, we collected data from the 228employees belong to Chinese public companies with surve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only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except systematic problem solving sty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in the case of core self-evaluation, its main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supported but none of its moderating effects on the two path from problem solving style to innovative behavior. Last, in the case of supervisory support, its main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support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 from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to innovative behavior was support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1. 혁신행동
    2. 문제해결 스타일의 주효과
    3. 핵심자기평가의 주효과와 조절효과
    4. 상사지원의 주효과와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표본의 특성
    3. 변수의 측정
Ⅳ. 분석결과
    1. 타당도과 신뢰성
    2. 상관관계 분석
    3. 가설검증
Ⅴ. 토의 및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및 토론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강순(영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Xun Jiang
  • 안성익(영남대학교 경영학과) | Ahn Seong Ik
  • 김성용(안동대학교 SW융합교육원) | Kim Seong Yo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