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감정노동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관계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대처능력, 사회적지원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mong Emotional Labor Workers: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9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전국상담복지연구 (National Counseling Welfare Research)
전국상담복지학회 (National Counseling Welfare Academy)
초록

본 연구는 감정노동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스트레스대처능력과 사회적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감정노동종사자들의 건강한 삶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확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스트레스대처능력과 사회적지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대처능력과 사회적지 원이 직무소진을 완화시키는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개인과 조직차원에서 감정노동종사자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 직무소진의 유발요인을 파악하고 직무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and its expansion for the healthy lives of emotional labor workers focuses on analysis of impact relation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medi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And also, This study verified that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variables to alleviate job burnout. For mental health enhancement of emotional labor worke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nducing factors of job burnout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and to prepare measures to mitigate job burnout.

목차
[개 요]
[Abstract]
1.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감정노동
    2. 직무소진
    3. 스트레스대처능력
    4. 사회적지원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분석
    2. 확인적 요인분석(CFA)
    3. 구조모형
Ⅴ. 결 론
    1. 요약 및 결론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정윤주(칼빈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 이민자(하늘숲심리상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