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지향적 접근: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KCI 등재

Task-Oriented Approaches to Improve Upper Limb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1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지향적 접근 연구들을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으로 연구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들을 통해 앞으로의 과제 지향적 접근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분석 자료는 2000년 1월부터 2018년 8월까지 MEDLINE, CINAHL,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선정기준에 적합한 17편의 무작위 실험 연구를 수집하였다. 선정된 연구들은 질적 평가(Pedro score)와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PICO)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 후 각 연구들의 중재 형식을 참고하여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17편의 연구는 Pedro score 5점 이상의 연구로 다양한 과제 지향적 접근을 통하여 상지기 능과 일상생활동작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과제 지향적 접근의 중재 형식은 횟수 강도 등을 통제하는 반복강화형, 기계적 장치나 보조기 등을 사용하는 조합형, 환자별 특성 및 목표 등을 참고한 환자맞춤형 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과제 지향적 접근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중재 형식에 따른 분석에서는 환자맞춤형은 큰 효과크기, 조합형과 반복강화형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과제 지향적 접근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영향은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결론 : 환자의 기능 향상을 위한 과제 지향적 접근은 일관되고 정형화된 과제 보다 다양한 자극과 환자 중심의 목표, 환경, 피드백을 활용하여 과제의 다양성을 강화할수록 보다 높은 치료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Objective: In this study, a task-oriented approach (TOA) applied to improve the upper limb func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is systematically reviewed and meta-analyzed. Next, the direction of task-oriented research is presented.
Methods: Data from 17 RCT studies from January 2000 to August 2018 were collected using the MEDLINE, CINAHL, and PubMed databases. Then, after a systematic analysis using the Pedro score and PICO, data from each study were used to conduct a meta-analysis.
Results: The 17 studies showed improvements in upper limb functions and daily living activities using various TOAs. We found three types of TOA, namely, a repeat reinforcement type, a combination type, and a patient-tailored type. The influence of a TOA on the upper limb functions had a large effect size. In our analysis of the intervention type, the patient-tailored type had a large effect size, whereas the combination and reinforcement types showed moderate effect sizes. The influence of the TOA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Conclusion: When applying a TOA,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can increase as the diversity is enhanced by utilizing various stimuli, goals, environments, and feedback.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 연구의 선정기준
    4. 분석 자료의 코딩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과제 지향적 접근에 대한 연구의 특성
    2. 과제 지향적 접근법이 상지기능에 미치는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3. 과제 지향적 접근이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4. 출판 편의 검정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박상기(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Park Sang-K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 이재신(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S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