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lutamate 경엽처리가 케일(Brassica oleracea L.)의 건조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Glutamate Foliar Treatment for Alleviating Drought Stress in Kale (Brassica oleracea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6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의 노지 재배 시, 생육 초기에 노출될 수 있는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Glutamate (Glu)의 스트레스 경감 및 생육 회복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건조 조건(D)에 노출된 케일에 5㎛ Glu 용액을 경엽처리하였다(D+Glu). Glu 처리 전 및 처리 후 4, 8일 차(0, 4, 8DAT)의 생육과 엽록소 함량을 측정하고 식물 체내의 ABA와 Glu, Pro의 함량을 분석하여 정상 환경 및 D, D+Glu 처리구 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엽록소 함량의 경우, 8DAT에서 D+Glu 처리구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에, D처리구는 14% 감소하였다. 엽면적으로 대표되는 생장 또한 D+Glu 처리구가 D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4, 8일차의 ABA 함량이 D 처리구에서 D+Glu 처리구에 비해 44.13, 49.18% 높게 나타났으며, 체내 아미노산 대사 및 건조저항성 지표인 Glu, Pro 함량은 D 처리구에 비해 D+Glu 처리구에서 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Glu 처리에 의해 건조 스트레스가 경감되고 생육이 회복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lutamte (Glu) treatment under drought stress, which can be a serious problem in growth, during the field cultivation of Kale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5㎛ Glu solution was applied to the leaves of kale which exposed to dry conditions (D + Glu).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measured at the 0, 4 and 8days after Glu treatment (0, 4, 8DAT)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ABA, Glu, and Proline (Pro) in the plant bodies to compare the well-watered, dry condition and dry condition with Glu treatments. In the case of chlorophyll content, D+Glu treatments remained constant at the 8DAT, while the only D treatments decreased by 14%. The leaf area as the growth indicator was also shown to be higher in D+Glu treatments than in D t reatments. In a ddition, ABA c ontents o f D treatments at t he 4DAT, 8DAT w ere 44.13, 4 9.18% higher than D +Glu t reatments. The contents of Glu and Pro as the amino acid metabolism and drought resistance indicators remained higher in D+Glu treatments.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drought stress can be reduced and growth can be recovered by Glu treatment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파종 및 수분 관리
    2. 생육조사
    3. ABA 분석
    4. 아미노산 분석(Glutamate, Proline)
결과 및 고찰
    1. 생장
    2. ABA 함량
    3. 엽록소 함량
    4. 아미노산 함량(Glutamate, Proline)
References
저자
  • 박창욱(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과) | Chang-Wook Park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고은(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과) | Ko-Eun Lee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은정(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과) |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과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인중(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과) | In-Jung Lee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