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자치에 관한 교직원 인식 분석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ulty and Staff Perception on School Autonom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6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교 운영에 참여하는 교직원, 즉 교사, 관리자, 교육행정직, 교육공무직을 대상으로 학교자치에 관한 실행 양상 및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자치 실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학교자치에 관한 교직원의 인식은 직위, 학교급을 중심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에 교직원의 협력과 소통에 기반한 학교자치 실현을 위해 지원이 요구되는 측면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행정직의 경우 교원 집단에 비해 학교자치에 관한 필요성에 관한 인식은 낮으나 개념 이해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나타나, 교육행정직 집단을 대상으로 학교자치 관련 직무연수와 컨설팅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원 집단의 경우, 학교자치에 관한 관리자와 교사 집단 간에 상당 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므로, 관리자의 민주적 리더십 연수와 학교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의 제도화 등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자치를 위해 선행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학교 구성원의 소극적, 수동적 태도의 개선을 통한 협력적 조직문화 형성인 것으로 나타나, 교직원의 집단적 효능감을 높여 협력적 학교문화를 조성해나갈 수 있도록 교원과 교육행정직 집단이 함께 참여하는 직무연수 개설 및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학교자치 문화 요인이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에 따른 역량 강화 지원 방안을 차별화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구성원의 원활한 의사소통 문화 형성과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의 사소통 교육, 토의‧토론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국어교사를 활용하여 교직원 대상의 의사소통 역량 강화 연수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implementation patterns and perceptions of school autonomy for school staff at school site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school support for realizing school autonom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irst, support for job training and consulting related to school autonomy is required for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oup.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managers' democratic leadership training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 memb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Third, in order to foster a cooperative school culture by enhancing the collective efficacy of the faculty and staff,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support job training in which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oup participate together. Fourth, there is a need for policy support to differentiate the support plan for capacity building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Fifth, it is necessary to form a culture of good communication in schools,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conduct competency-building training for faculty members.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자치의 개념
    2. 학교자치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및 방법
    2. 조사 도구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학교자치의 필요성 및 개념에 관한 교직원 인식
    2. 학교자치의 저해 및 촉진 요인에 관한 교직원 인식
    3. 학교문화에 관한 교직원 인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변숙자(충북교육정책연구소) | Byeon Sook-Ja (Chungbuk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