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송국리형문화의 취락사회와 사회발전 양상 KCI 등재

Village society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Songgukri type 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7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본 글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에 송국리형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거점취락을 대상으로 사회발전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송국리형문화 단계가 과연 어떤 형태의 또는 어떤 수준의 사회였는지 들여다 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당시 취락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이념체계와 관련되는 고고학적 맥락을 추출하여 사회적 수준과 발전양상을 살펴보았다. 송국리형문화의 취락사회는 Chiefdom 사회에 깊숙이 진입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모든 취 락사회가 동일한 체계로 운영된 것은 아니었다. 우리의 고고학적 환경에서 사회 발전과 변화에 영향 력을 행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핵심요소들은 거점취락에서 활성화되어 있었다. 족장 성격을 갖는 유 력자의 존재와 지도력, 유력자와 그 공동체 또는 세력집단 간 갈등과 같은 사회현상, 대규모 공사를 위한 노동력의 집결과 부의 재분배, 위세품의 존재와 장거리 교역, 사회적 위계화와 장인집단(전문 화·분업화)의 존재, 거점취락과 지역사회의 유기적인 연계망, 사회결속을 위한 취락의례(제의)의 존 재 등은 송국리형문화단계의 취락사회, 특히 거점취락에서 볼 수 있는 현상들이었다. 비록 모든 취락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화·보편화 현상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Chiefdom 사회의 발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문화요소들임에는 부정할 수 없다. 송국리형문화를 영위했던 다양한 취락사회는 내적·외적으로 사회적 관계와 지역적 적응 속에서 상사·상이한 체계로 발전해갔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공통되는 사회발전 양상과 지역성을 고려하여 우리 형편에 맞는 사회발전 모델과 범주의 체계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It is not easy to examine the social development patterns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society. Because the lack of data and the leap of logic act as limitations. Despite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apply diverse viewpoints and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dimensions of the social development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ocial development patterns of the pivotal villages that were based on the Songgukri type culture during the Bronze Age of Korea. With this pursuit, I extracted archaeological contexts related to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ideological system of the time and examined the level and development patterns of the village societies. It is presumed that the village society of the Songgukri type culture were generally the chiefdom society. However, not all settlement societies were operated under the same system. This is because the key elements in our archaeological contexts that believed to have influenced the social development and changes were much better identified from the pivotal villages. I regard the existence of the following social elements as a measuring tool to examine the chiefdom society’s development dimension: An influential person who had a standing as a chief alike; an influential leadership of a such person; social phenomena such as conflicts within a community and between the power groups; labor force gathering for large-scale constructions and wealth redistribution; prestige items and long-distance trades; social hierarchy and artisan groups (professionalization and labor divisions); dynamic networks across the pivotal villages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 village rituals for social cohesion. And I maintain that these key factors were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nggukri-type culture villages into a complex society.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사회발전단계의 인식과 송국리형문화의 취락사회
    1. 사회발전단계에 대한 인식
    2. 송국리형문화의 취락사회와 문화적 특성
Ⅲ. 송국리형문화의 취락사회와 사회발전 양상
    1. 공간설계의 정립
    2. 사회구조의 체계화
    3. 대규모 공사와 부의 재분배
    4. 생산·소비·유통과 사회적 위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이종철(전북대학교박물관) | Lee jongche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