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n Subjective Symptoms of Computer Vision Syndrome(CVS) in the Era of COVID-19 KCI 등재

COVID-19 시대 온라인 학습 환경이 CVS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 환경과 CVS 자각증상을 조사하여 CVS 증상 예방조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에 동의한 대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19.87±1.48세로 남학생과 여학생은 각각 70명(50.0%) 이었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4), 온라인 학습 환경 특성(12), CVS 자각증상(16) 총 32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CVS 증상은 ‘건조함’(69.3%)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시력이 나빠지는 느낌’(62.9%), ‘두통’(60.7%), ‘눈의 통증’(53.6%), ‘눈꺼풀 무거움’(50.7%)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컴퓨터 사용시간이 8시간 이상 인 그룹의 CVS 증상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온라인 학습동안 규칙적으로 휴식하지 않는 그룹이 휴식을 하는 그룹 보다 모든 CVS 증상에서 발생 빈도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온라인 학습 환경과 CVS 자각증상을 확인하였다. 컴퓨터 사용 시간이 길수록 CVS 증상의 발생빈도는 높았으며, 온라인 학습동안 규칙적으로 휴식하는 것이 CVS 증상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규칙적인 눈 운동 필요 인식이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동안 올바른 눈 운동과 휴식 방법의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reventative measures for CVS symptoms by investigating the subjective symptoms of CVS and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university students currently using the computer a lot.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40 university students who agreed to the questionnaire from March to April 2021. They were 70 male and 70 female students (50.0%) aged 19.87±1.48 years on average. The measurement tool was used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involving in general characteristics (4), online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12) and the subjective symptoms of CVS (16).
Results : It was appeared that the most frequent symptom of CVS was ‘dryness’ (69.3%) and ‘feeling that sight is worsening’ (62.9%), ‘headache’ (60.7%), ’eye pain’ (53.6%) and ‘heavy eyelids’ (50.7%) appeared the most common symptoms in order. The group that spent time over 8 hours a day for computer a day showed more frequent symptoms of CVS, and the group that did not take regular breaks higher incidence in all CVS symptoms than the other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We study confirmed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subjective symptoms of CVS. The longer the computer usage time was, the higher the occurrences of CVS symptoms was. It was revealed that taking regular rests during online learning would reduce the frequencies of CVS symptoms. Furthermore,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regular eye exercise awareness shows better high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vertise and educate correct eye exercises and a way to relax.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온라인 학습자의 시각적 수업환경
    3. CVS 자각증상
    4. 온라인 수업 환경 특성에 따른 CVS 자각증상
Ⅳ. 고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Se-Jin Kim(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 김세진
  • Hyojin Kim(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 김효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