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한 나무(傩舞) 문화의 비교 연구 —중국 화주 도화붕(跳花棚)과 한국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KCI 등재

中韩傩舞文化对比研究 — 以中国化州跳花棚与韩国凤山假面舞为例—

중한나무문화대비연구 — 이중국화주도화붕여한국봉산가면무위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중한 양국은 이웃하여 살고 일의대수, 역사의 발전 과정 속에서 서로 촉진하고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문화예의와 풍습 등에 모두 깊은 연원을 가지고 있다. 중국 화주 도화붕은 중국 전통문화의 특색을 살려 무형유산으로서 전통 민속문화와 민족 습관과 민족의 정을 반영한다. 화주 도화붕은 전통 나무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자 전통민속과 문화의 결합으로 민속적인 특색을 띠고 있다. 봉산탈춤은 한국의 전통문화적 기호 중 하나로, 각종 한국의 탈춤 종류를 통틀어 봉산탈춤이라는 하위영역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고, 가장 널리 퍼진 연극이다. 두 가지 예술 형식을 통틀어 보면, 기원 발전, 예술적 특징, 사회적 기능에 모두 비슷한 면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한 나무문 화의 비교연구를 연구방향으로 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문화배경에 의한 동종의 예술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中韩两国比邻而居、一衣带水10),在历史的发展进程中互相促 进、互相影响,在文化礼仪习俗等都有着深厚的渊源。中国化州跳 花棚极具中国传统文化特色,作为非物质文化遗产能反映传统的民 俗文化以及民习民情。化州跳花棚是传统傩文化的重要体现,更是 传统民俗与文化结合的产物,极具民俗特色。韩国凤山假面舞是韩 国传统文化符号之一,在各类韩国的假面舞种,凤山假面舞这一分 支是保存的最为完善,传播最广泛的代表剧目。纵观两种艺术形 式,不论是起源发展、艺术特征、社会功能都有着一定的异同,因 此本文拟以中韩傩舞文化的对比研究为研究方向,对两种不同文化 背景下的同类艺术性进行对比分析研究。

China and South Korea live in neighboring countries and live in a single clothing and water. They promote and influence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have deep origins in cultural etiquette and customs. Huazhou Tiaohuapeng dance has Chinese traditional culture characteristics, which can reflect the traditional folk culture and the folk customs as 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uazhou Tiaohuapeng dance is an important embodiment of traditional Nuo culture, and also a product of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folk and culture, with a very folk characteristics. Fengshan masquerade dance is one of the traditional cultural symbols in South Korea. In various types of masquerade dance in South Korea, Fengshan masquerade dance is the most perfect and widely spread representative drama. Looking at the two kinds of art forms, whether it is the origin and development,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functions, there are certai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make comparative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same artistic characteristics under the two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aking the comparative study of Nuo dance culture in China and South Korea as the research direc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중한 나무문화의 역사
Ⅲ. 중한 나무의 예술 특징
Ⅳ. 중한 나무 문화 비교 연구
Ⅴ. 결론
<참고문헌>
<摘要>
저자
  • 조정(광동석유화공대학 예술과 디자인 학부) | Zhao Ting (Guangdong Institute of petrochemical technology, School of art and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