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프로 농구선수들의 몰입 경험에 대한 탐색 KCI 등재

Exploring the Flow Experience of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2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프로농구선수들이 시합상황에서 경험하는 ‘농구 몰입’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프로농구선수 11명을 대상으로 몰입 상황, 몰입 전 또는 순간에 대한 느낌, 몰입 이후 필수요소 등의 질문 을 통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몰입발생 이전과 몰입 진입 단 계에서 경기 전에 나타나는 몰입 단서를 통해 몰입의 전조 증상을 진술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에 보다 집중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경험 중에는 몰입상황을 통제할 수 없었으며 시합상황 파악, 상대 움직임 예측, 완벽한 컨디션 그리고 시간의 변형 같은 몰입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결과 단계에서는 시합 영상분석을 통해 몰입 유지 및 재정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상 통증을 잊고 경기에 뛰거나, 몰입경험의 놀라움 반응 등의 몰입의 특별함이 진술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몰입상황을 유지하고 적응하기 위해서 자기 수행에 긍정적인 요소들이 활성화 되어야하며, 더 많은 경험을 추구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의 제공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depth information on ‘basketball flow’ that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experience in real game situations. Methods: 11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were given in-depth interviews based on questions about flow situations, their feelings before and at the moment of flow, and the essential factors after flow.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inductive contents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aid that before flow and at the beginning of flow, players stated signs of flow through the clues to flow occurring before games and those signs helped players to pay more attention to games. The results also said that players couldn’t control flow situation but experienced flow such as the grasp of the game situation, the prediction about the opponents, perfect condi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ime. At the stage of flow result, players were provided with self-regulatory feedback through analysis of video images of the game and they stated reactions of surprise about their flow experiences like finishing games without recognizing their pain from injury. Besides, players’ mood states, routine, feelings of achievement, and their relations with coaches were mentioned. Conclusion: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results and more follow-up research on professional sport players’ flow was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4. 연구의 진실성
Ⅲ. 연구 결과
    1. 몰입발생이전
    2. 기회유지를 위한 집중(몰입진입)
    3. 몰입경험
    4. 몰입결과
    5. 몰입경험 후 재적용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양한승(전북대학교 박사과정) | Yang Han Seu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비(전북대학교 박사과정) | Li Fei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풍해도(전북대학교 박사과정) | Feng Haitao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황진(전북대학교 교수) | Hwang Jin (Je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