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골프는 실버세대들이 신체적, 비용적으로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생활체육으로서 자리매 김하고 있다. 이에 파크골프 참여자들의 열정적인 참여행동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파크골프 참여자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 및 AMOS 18.0 을 이용하였다. 또한, 빈도분석,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EM을 통해 경로분석을 실행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열정적 행동과 운동몰입 의 관계는 조화열정은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강박열정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열정은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운동몰입은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열정과 운동 성과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이 부분적 매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열정이 저하되지 않도록 파크골프장의 환 경을 개선해 준다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는 향상될것이다.
몰입은 내적동기와 관련성이 큰 개념으로 스포츠심리학에서 스포츠 수행에 있어 긍정적인 요소 로 여겨진다. 몰입과 중독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선행되었지만, Flow와 Commitment의 개념이 혼동 돼 사용되었다. 또한 몰입이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 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몰입의 중독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들과 다르게 장기적으로 몰입 이 내적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적응수준 이론과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의 관점에서는 몰입을 통해 얻는 만족감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어느 시점에서 이러한 개인의 발전은 한 계를 느끼게 되며, 몰입을 경험하지 못하는 시점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개인은 몰입을 다시 경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존재하므로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몰입 경험의 실패로 이어질 때 반복적인 실패는 슬픔으로 작용하여 내적동기를 약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몰입의 부정적인 요소와 장기 적인 관점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대학생 태권도 선수들의 선수 경력, 대회 참가빈도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자 대학 태권도 선수 20명이다. 선수 경력과 대회 참가빈도 는 4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1점에서 4점으로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선수 경력과 대회 참가빈도가 높음 을 의미한다. 운동몰입에 대한 평가는 운동몰입척도를 활용하였다. 운동몰입척도는 총 8문항으로 행위 몰 입 4문항과 인지 몰입 4문항으로 구성되어있고,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평정하며, 점수가 높으면 높 을수록 운동몰입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대회 참가 빈도와 운동몰입 간에 정적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선수 경력은 부적 (-) 인과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회 참가빈도가 높을수록 운동몰입 수준이 증가하며, 선수 경력이 길수록 운동몰입 수준이 감소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여자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몰입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회 참가 빈도와 선수 경력을 고려해야 할 것이 다.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이 선수의 운동몰입과 스포츠자신 감을 통해 선수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태권도 선수들 을 대상으로 총 665부의 설문을 수집하였고, 유효하지 않은 49부를 제외하고 총 616부를 사용하여 SPSS와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과 선수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 계에서 모든 측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과 선수의 운동몰입 간의 관계에서 모든 측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과 선수의 스포츠자신감 간의 관계에서 모든 측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선수의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모든 측 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섯째, 선수의 운동몰입과 스포츠자신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선수의 운동몰입 과 스포츠자신감은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과 선수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 계를 부분 매개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홈트레이닝과 운동몰입, 지속의도에 대한 기술수용 이론을 적용한 인과관계 모형에 대한 구조분석 방법(SEM)을 적용하여 소비자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한 전략적 도구를 파악하기 위해 2021년 2월 1일부터 5월 21일까지 표본 계획에 의해 모바일 프로그램인 “서베이 몽키”를 사용하여 유효표본 총 287명의 소비자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수용모델이 운동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수용모델이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몰 입이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사태로 인하여 현재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비대면 형식의 교양 수영 수업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교의 교양 수영 수업의 질은 지도자가 갖추고 있는 전문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학생들은 실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 운동몰입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확답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수영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교양 체육 및 생활 체육 종목에 있어서 앞으로 상당한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교양 수영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281명의 비체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이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과 참여지속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교양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실습능력, 기초지식)이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강의기술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는 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기초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행동몰입 요인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목적은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수영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12명이며, 수영 프로그램에 12주간 참여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자들의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 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아효능감 평가는 전반적 자아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일반적, 사회적 신체적 자아효능감을 평가하였다. 운동 몰입 평가는 스포츠 몰입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는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를 활용하여 전반적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은 수영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영 프로그램의 참여는 성인 지적장 애인들의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서, 성인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수영 프로그램의 적용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rts commitment, sportswear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Two hundred surveys were distributed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185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PSS program was used with a reliability test and factor, frequency, path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five hypotheses were suggested. H1: Cognitive commitmen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commitment of sports commitment factors. H2: The behavioral commitmen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satisfaction. H3: Sportswear brand satisfac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brand loyalty. H4: Cognitive commitmen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habitual brand loyalty. H5: Continuous brand loyalt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habitual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after the factor analysis, there were two factors of sports commitment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Second, the path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ports commitment factors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sportswear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factors (continuous brand loyalty and habitual brand loyalty). The results revealed that cognitive commitmen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ehavioral commitment, which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portswear brand satisfaction. Sportswear bra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tinuous brand loyalty, which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abitual brand loyalty. Cognitive commitment also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abitual brand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nnis club satisfaction, tennis
commitment and exercise adherence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ecide exercise adherence by
tennis club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목적: 본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 시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이 운동참여자의 운동몰입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참여자들이 운동을 지속하기 위한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22년 수도권을 중 심으로 필라테스를 하고 있는 성인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Jamovi 2.2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 α 계수, Pearson’s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 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운동참여자의 운동몰입에 대한 하위요인 중 인지몰입에는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 의 하위요인인 수행지식 피드백, 긍정일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향을 미쳤으며, 행위몰입에는 긍정일 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 부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향을 미쳤다. 운동참여자의 만족도에 대한 하위요인인 지도자행동만족, 운동능력만족, 운동환경만족 모두 수행지식 피드백, 긍정일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은 운동몰입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운동참여자들의 필라테스 참여의 지속을 위하여 필라테스 지도자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바탕으로 상 황에 맞는 피드백의 활용을 통하여 참여자의 운동몰입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절실함과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429명의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418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6.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절실함의 하위요인 중에서 인내와 극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선수의 절실함은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몰입 또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절실함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에서 운동몰입을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운 동선수의 절실함이 높을수록 운동상황에 더 몰입하게 되어 자신의 경기력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ades, positions, and match results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port flow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occer players. The total data of 448 copies were collec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occer teams while 405 copies were accepted for final analysis without 43, an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data. The result of latent mean analysis showed that middle school player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in sense of control of sport flow and transformation of time, and defen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offenders in ego orien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ime, while winning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than losing group in all factors except ecstasy. Also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achievement-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sport flow in middle and high school players, and middle school players had more powerful effect than high school players. Meanwhile, the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ffected significantly on sport flow in offenders and defenders, and ego orientation of offenders affects on sport flow. task orientation of winning and losing groups had significant effect on sport flow, and ego orientation of win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sport flow.
본 연구는 청소년 선수들이 지각한 동기 분위기와 재미, 운동 몰입의 인과모형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738명의 남자 청소년 축구, 농구, 야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동기분위기지각, 스포츠 재미, 운동몰입(commitment)검사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기술통계 및 다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이론적으로 가설화된 인과모형은 구조방정식 모델로 검증하였다. 나타난 결과 첫째, 청소년 선수들은 경쟁분위기 보다 숙련분위기 지각이 더 높았고, 농구와 야구선수들이 축구선수들보다 숙련분위기 지각이, 야구와 축구 선수들이 농구선수들보다 경쟁분위기 지각이 더 높았다. 둘째, 스포츠 재미는 모든 요인에서 학교급별, 종목 간 차이를 보였고 단지 유능성 지각만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행위몰입은 종목 간 차이가, 인지몰입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숙련 분위기 지각은 운동 재미와 몰입에 정적 상관을, 경쟁분위기지각은 부적 혹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가설화된 인과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숙련분위기 지각은 재미에 정적 영향을, 몰입에는 간접영향을 미쳤으나, 경쟁분위기 지각은 재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몰입에는 부적영향을 미쳤다. 재미는 몰입에 높은 정적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다집단 분석결과 인과모형은 학교급별(중/고), 종목별(축구/농구/야구) 모든 집단에서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이론적, 실증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의 학년, 동아리 활동, 체력등급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과 운동 몰입의 차이를 검증하고 두 요인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는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운동몰입 수준, 신체적 자기지각을 조사하기 위한 질문지를 대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SPSSWIN 12.0를 이용한 다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은 하위요인 중 매력적인 몸매에서, 운동 몰입에서는 인지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아리 활동 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은 스포츠 유능감, 매력적인 몸매, 체력의 영역에서, 운동 몰입은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체력등급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 몰입은 인지몰입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자기지각과 운동 몰입 간의 관계 연구에서는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 신체적 자기지각의 하위요인 스포츠 유능감, 신체적 컨디션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참여자의 재미요인, 스트레스요인, 운동몰입, 운동중독, 운동탈진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골프연습장에서 주당 3회 이상 연습하고 매월 1~2회 이상 필드에서 라운딩을 하는 골퍼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골프의 재미요인, 스트레스요인, 운동몰입, 운동중독, 운동탈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AMOS를 이용하여 경로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골프참여자의 재미요인은 운동몰입에 직접적으로 인과성이 있었으나, 운동중독과 운동탈진에는 관계가 없었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스트레스요인은 운동몰입, 운동중독, 운동탈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들의 운동몰입은 운동중독과 운동탈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참여자의 운동몰입과 운동탈진, 그리고 운동중독과 운동탈진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체육 현장에서 성취성향과 운동몰입의 관계를 검증하여 학생중심 교육과정 실현과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계획하기 위하여 338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취성향질문지(LAPOPECQ)를 사용하여 성취성향을 측정하였고, 운동몰입도질문지(ESCM : Expansion of the Sport Commitment Model)을 사용하여 운동몰입도를 측정한 후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적률상관분석(Pearson′s r), 다중회귀분석(Multifu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성향의 정도는 남학생과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의 정도는 남학생과 고등학생이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성취성향과 운동몰입의 상관관계는 교사학습성향과 학생학습성향, 학생경쟁성향이 높을수록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정도가 강하고 노력없는 결과지향과 실수에 대한 걱정이 높을수록 인지몰입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성취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학습성향과 학생경쟁성향이 높을수록 인지몰입의 정도가 강하게 나타났고, 학생학습성향, 학생경쟁성향, 교사학습성향이 높을수록 행위몰입의 정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이 한국과 중국 운동선수들이 좋아하는 리더십유형과 성취동기, 운동몰입 그리고 코치의 지도효율성의 차이 및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양국 간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한국스포츠 지도자들에게 중국선수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중국 중․고등학교 단체경기의 구기종목(축구, 농구, 배구) 남․여 운동선수 각 500명씩 총 1000명을 조사하였다. 기초배경조사로써 국적, 성별, 연령, 운동경력, 참여운동종목, 주당연습시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로는 Bass(1985)와 Wright(1996)의 변혁적 리더십설문지, Bass(1985)가 개발한 거래적 리더십질문지, Willis(1982)가 개발한 성취동기 질문지, Meyer와 Allen(1984)이 개발한 운동몰입 질문지, Duda와 Nicholls(1989)가 개발한 지도효율성 질문지들로서, 이들의 척도는 5점 리커트식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연구문제는 첫째, 국가별․성별에 따른 학교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리더십유형의 차이와, 둘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성취동기, 몰입,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셋째,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성취동기, 운동몰입, 지도효율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한국선수들과 중국선수들이 지각하는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은 문화적 특성에 의해 다르게 나타났고, 또한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은 성취동기, 운동몰입, 지도효율성에도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그리고 관련된 매개변인․종속변인들 간에 인과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일반교사의 공정성이 운동선수들의 학교, 교사에 대한 신뢰와 학교생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는 대구·경북 소재에 거주하고 있는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확률적 표집방법에 의해 무작위로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2007년 5월10일에서 2007년 5월 30일까지 조사를 하였으며, 각 학교를 방문하여 운동담당 선생님과 코치선생님에게 총 250부가 배포되었으며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8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22부의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각 변수를 측정하고 있는 척도에 대한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가설화된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공정성이 교사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절차공정성은 교사의 신뢰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선수들이 일반교사들의 처우나 행동에서 결과물에 대한 과정에는 별로 의미를 크게 두지 않는 반면 결과물에 대한 평가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교사와 운동선수간의 의사소통이나 교사로부터의 처우가 교사의 신뢰에 아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공정성이 학교생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정성과 신뢰와의 관계에서와는 다르게 절차공정성이 학교생활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는데, 운동선수가 학교에 학교생활몰입하기 위해서는 결과물에 대한 평가도 중요하지만 결과물에 대한 절차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교사에 대한 신뢰는 학교생활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운동선수들이 교사에 대해 신뢰감을 가지면 학교나 교사에 대해서도 학교생활몰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생활이 일반학생들과 크게 다른 운동선수의 경우 학교생활이나 교우관계에서 일반교사들과의 교류가 타 학생들과 다르다는 점에서 운동선수 스스로가 차별이라 지각할 확률이 높으므로 일반교사들의 운동선수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중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이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참가정도와 감각추구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생활체육 참가자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305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학력에 따른 감각추구성향은 차이가 없었고, 성별과 연령에서는 스릴과 모험추구와 탈 제지에서, 소득수준은 권태민감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참가빈도에 따른 운동몰입은 차이가 없었고, 참가기간은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 참가시간은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인지몰입에는 참가기간, 스릴과 모험추구, 그리고 경험추구 성향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행위몰입에는 참가기간, 참가시간, 스릴과 모험추구, 그리고 탈 제지 성향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감각추구성향과 운동몰입에 대한 선행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논의 되었다.
본 연구는 여가운동을 스포츠에 몰입되어 있는 행동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정용각(1997)이 개발한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몰입행동 척도에 대한 구성타당도 검증과 척도의 예측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라켓종목인 테니스와 배드민턴, 건강운동인 수영과 헬스, 팀 스포츠인 야구, 모험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 그리고 여가종목인 볼링 등의 운동에 현재 참가하고 있는 600명(남자 418명, 여자 182명)이 타당도 검증대상이 되었다. 스포츠 몰입 척도는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와 2차 모두 고유치를 1로 고정시켰을 때는 1개의 요인이 탐색되었으나 2개의 요인을 지정한 결과 인지몰입(8개 문항)과 행위몰입(4개 문항) 등 2개의 요인구조가 탐색되었으며, 신뢰도도(α=.86~.9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몰입 척도에 대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개요인 모형보다 2개 요인모형이 모든 적합도 지수에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가 검증된 스포츠몰입 척도의 예측을 알아보기 위해 스포츠 참여동기와 운동에서 느끼는 정서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스포츠 몰입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긍정적 정서, 내적동기, 부적정서 순으로 정적관계가 있었으며, 무동기 요인은 부적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내적동기와 긍정적 정서가 운동지속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성별×참여기간별 스포츠 몰입도의 차이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한 결과 성별과 참여기간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스포츠몰입 수준이 높았으며, 참여기간이 길수록 스포츠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척도는 구성타당도와 예측성이 검증되어 스포츠몰입 수준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