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몰입행동 척도의 타당도 검증 KCI 등재

Validity Verification of Sport Commitment Behavior Sc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9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여가운동을 스포츠에 몰입되어 있는 행동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정용각(1997)이 개발한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몰입행동 척도에 대한 구성타당도 검증과 척도의 예측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라켓종목인 테니스와 배드민턴, 건강운동인 수영과 헬스, 팀 스포츠인 야구, 모험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 그리고 여가종목인 볼링 등의 운동에 현재 참가하고 있는 600명(남자 418명, 여자 182명)이 타당도 검증대상이 되었다. 스포츠 몰입 척도는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와 2차 모두 고유치를 1로 고정시켰을 때는 1개의 요인이 탐색되었으나 2개의 요인을 지정한 결과 인지몰입(8개 문항)과 행위몰입(4개 문항) 등 2개의 요인구조가 탐색되었으며, 신뢰도도(α=.86~.9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몰입 척도에 대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개요인 모형보다 2개 요인모형이 모든 적합도 지수에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가 검증된 스포츠몰입 척도의 예측을 알아보기 위해 스포츠 참여동기와 운동에서 느끼는 정서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스포츠 몰입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긍정적 정서, 내적동기, 부적정서 순으로 정적관계가 있었으며, 무동기 요인은 부적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내적동기와 긍정적 정서가 운동지속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성별×참여기간별 스포츠 몰입도의 차이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한 결과 성별과 참여기간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스포츠몰입 수준이 높았으며, 참여기간이 길수록 스포츠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척도는 구성타당도와 예측성이 검증되어 스포츠몰입 수준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factorial pre dict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port Commitment Behavior Scale(SCBS; Jung, 1997) among sport and exercise participants in leisure. Development of items was based on (a) past research with sport commitment, (b)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leisure sport mania. The SCBS was explored with cognitive commitment factor(8 items) and behavioral commitment factor(4 item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s for the two SCBS scale were reasonable(alpha: cognitive commitment .94-.95; behavioral commitment .86-.87) for administration of the scale to participants(1st 442; 2nd 60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good fit of the hypothesized model to the data that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residuals and modification indices. In support of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BS responses, every predicted correlations was statically significant. In support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SCBS responses, most predicted correlations were higher than other correlations involving the same criter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construct validity of SCBS responses in relation to their potential usefulness in a wide variety of sports and exercise settings.

저자
  • 정용각(부산외국어대학교) | Jeong Yong Ga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