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경수 농장의 소나무 재배관리 실태분석1) – 고창군 사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ine Tree Cultivation Management in Landscaping Tree Far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고창군의 소나무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재배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산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나무 재배는 병해충관리, 수형관리, 시비 등이 중요한 과정으로 건전한 생육 상태와 상품 가치가 높은 수형 관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년에 1회 이상 가지치기, 시비, 농약 살포 등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재배관리를 위한 비용이 투입되고 있으며 특수목 구입과 가지치기 등에 많은 비용이 사용되고 있다. 소나무 재배 농가 는 노동력 부족과 가지치기의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재배관리 현황을 기초로 소나무 생산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면 첫째, 노동력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계화 및 스마트 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노지 생산방식보다는 컨테이너재배 방식이 효율적이다. 둘째, 수형 관리를 위한 가지치기 기술의 습득을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가지치기는 소나무 품질 을 결정하는 중요한 관리기술로 전문가 의존도가 높으므로 지속적인 교육, 정보 제공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수요에 대응한 맞춤형 재배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규격화된 대량 생산의 재배목과 우수한 상품성을 가진 대형목인 산채목 등으로 구분하여 수요에 적합한 품질을 갖도록 재배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research assesses the current status of commercial pine tree farming in Gochang-gun, Korea, and presents prospective measures to improve and revitalize the industry. Cultivation of pine trees is an ecologically important process for proper form management, control of pests, soil fertilization, and cultivation of a diverse and healthy ecosystem. Pine tree management requires continual expenditure and upkeep to provide for necessary pruning, spraying, fertilization, and purchase of healthy seedlings and specific tree species. In pine-growing farms, pruning, fertilization, and pesticide spraying are performed at least once a year. Besides monetary costs, this cultivation is labor-intensive, particularly pruning. A lack of labor and resultant difficulties in keeping pine pruned is a frequent complaint among pine farmers in the region. Based on this, we propose that it is first necessary to more widely apply mechanization and smart farm systems to solve the problem of labor shortage. To this end, container cultivation is a more efficient method than the current production method of open field culture. Second, the industry requires support for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skilled labor which is qualified for the required pruning necessary for good forest management. Pruning is an important management technique that strongly influences the quality of pine trees, and since proper application is highly dependent on experts, support such as continuous education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hird, customized cultivation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response to demand. Cultivation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quality suitable for demand by classifying the trees into standardized mass-produced cultivated trees, and large-sized trees with excellent commercial qualit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설문지 구성 및 조사방법
    2.3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재배관리
    3.2 재배비용
    3.3 재배관리의 문제점
    3.4 재배관리 정보의 습득방법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정나라(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Nara Jeong (Urban Ag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 안득수(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Deugsoo 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