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천적 연구의 현황 및 미래 전략: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KCI 등재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of Natural Enemy Research in Korea: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from 1990 to 202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5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우리나라의 천적 연구는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5여 년이 지난 지금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에 발표 된 논문은 약 130편으로 전체 약 1,550편의 8.4%가 천적에 관한 논문이었다. 이들 논문 중에는 1990년대에는 천적을 탐색하여 생물적 특성 연구에 관한 논문의 비율이 높았고, 2010년대에는 개발된 천적을 농가 현장에 적용하는 논문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국내 토착 천적이 24종, 도입 천적이 13종이 개발되어 총 37종의 우수 천적이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된 천적이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천적 활용 기술서 및 매 뉴얼을 약 28종 이상 개발되었다. 이처럼 지금까지 천적 탐색, 생물적 특성 연구, 및 생산·이용 기술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앞으로 추진 하여야 할 과제도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 농작물 재배상황에 맞는 우수 천적을 탐색하거나 도입하는 연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중 대량생산 기술, 천적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및 천적과 저독성 작물보호제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ince 1995, researches on natural enemies have been conducted extensively in Korea. Research papers on natural enem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from 1990 to 2020 were 130, which is 8.4% of all published papers during the same period. In 1990s, most research papers study the searching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emies, whereas the proportion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field application using the developed natural enemies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0s. A total of 37 excellent natural enemie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24 indigenous and 13 introduced natural enemies. In addition, 28 kinds of booklets and/or manuals were developed for field application of natural enemies. Although successe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achieved since that period, more researches on search for and/or introduction of excellent natural enemy suitable for the Korean cultivation environment, mass production technology that can reduce cost, and quality control program in producing and distributing natural enemy remain to be pursued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compatible way with natural enemies and other crop protection agents including synthetic insecticides.

목차
ABSTRACT
초 록
천적에 대한 이해
천적 활용 사례
천적 연구의 현황과 성과
    천적 연구의 현황
    포식성 천적 연구
    기생성 천적 연구
    곤충병원성 미생물 천적 연구
    천적 활용의 성과
천적 연구 활성화 방안
    천적 활용의 문제점
    천적 연구의 방향
맺음말
Literature Cited
저자
  • 조점래(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Jum Rae Cho (Applied Entomology Division,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and Crop Protec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r
  • 김정환(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Jeong Hwan Kim (Applied Entomology Division,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and Crop Protec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서미자(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Meeja Seo (Applied Entomology Division,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and Crop Protec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최선우(전라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과) | Seon U Choi (Agricultural Environment Division,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임언택(안동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물의학과) | Un Taek Lim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경열(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Kyeongyeoll Lee (Major in Applied Biology, Department of Applied Life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