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probiotics production,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cultured on a large scale to achieve efficient processing through fermentation optimization and scale-up. In this Current study, the LAB strain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WiKim0125 was isolated from kimchi and optimized the production. The optimization strategy for cultivating L. plantarum WiKim0125 consisted of investigating media components, selecting physiochemical conditions to enhance productivity, and scaling up for pilot-scale production. Each process condition was evaluated based on substrate consumption, lactic acid production, and viable cell yield. As a result, the final viable cell and lactic acid yield of L. plantarum WiKim0125 increased by 38.6% and 19.4%,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fermentation optimization and scale-up processes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L. plantarum WiKim0125.
The mass-rearing system for Neodryinus typhlocyba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of Metcalfa pruinosa was established. Depending on the density of host nymphs and plants, the average number of cocoons produced by the parasitoids was 5-8 and 70-150 cocoons per leaf and sapling of mulberry, respective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coon length between females (6.10-6.46 mm) and males (4.20-4.62 mm). Sex determination of cocoons before emergence will be helpful for efficiently releasing this parasitoid in fields. The parasitic rate of N. typhlocybae at the semi-field condition was on average 13-17%. The release number of this parasitoid did not affect parasitism. Nevertheless, the population growth rate of M. pruinosa was reduced by increasing the release number of N. typhlocybae. The parasitoid offspring’s sex and bivoltine were influenced by the host age. On young host nymphs, the bivoltine portion of parasitoid increased. When parasitized on 4th or 5th nymphs, the offspring’s female ratio of N. typhlocybae increased. This result may be useful for potentially controlling mass rearing production of parasitoid.
현대사회 대부분의 교육은 전문화를 바탕으로 기능의 분화를 거듭하 였고, 이는 정보의 분산과 같은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냈다. 실제로 초· 중·고 단위로 분화된, 유럽연합에 대한 교육과정은 정상적인 교과과정을 이수한 학생이라도 단일한 유럽을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바 로 이점에 주목해 “유럽연합의 전반적인 학습이 아닌, 지엽적인 국가별 역할에 집착하는 교육을 이수한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유럽연합을 어떻 게 이해하고 있을까?”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 증분석을 통해 “유럽연합에 대한 교육 기관의 부재, Erasmus Mundus 프로그램, EU Centre 설립 홍보부족, 대학 입학에 의존한 주입식 교육 방법”이 미래의 인재인 대학생들이 유럽국가에 보이는 관심에 비해 유 럽연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In this study, Telenomus remus Nixon (Hymenoptera: Scelionidae) was first reported as a natural enemy of the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J.E. Smith) (Lepidoptera: Noctuidae) egg collected from corn fields in Korea, and its biological characteristics was stud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the parasitoid emerged from S. frugiperda eggs was identified as T. remus. We found that T. remus can attack the eggs of S. frugiperda, Spodoptera litra and Spodoptera exigua under a laboratory condition. The longevity of T. remus female adult was longer than that of male adult. The egg-to-adult period of T. remus was not affected by the host age and sex. T. remus female adult laid at least 1-3 eggs a day to a maximum of 37 or more eggs, and the most oviposited on the 3rd to 4th day after emergence. The host preference for oviposition of T. remus adult was high in the order of S. litura>S. exigua>S. frugiperda. T. remus preferred to parasitize 1- and 2-day-old host egg rather than 3-day-old host egg. When compared to the sex ratio of T. remus progeny, the rate of female progeny was higher at the initiation time of oviposition, while the proportion of male progen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female adult age, especially after 8-day-old adult. This information may be useful for improving T. remus mass rearing system and developing a biological control program to control S. frugiperda.
우리나라 산불 발생에 관한 시계열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960년부터 2019년까지 연도별 산불 발생빈도는 약 16.6년을 주기를,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산불 발생빈도는 약 11.3개월의 주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연도별, 월별 시계열은 안정된 경향을 보여 증가 혹은 감소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P<0.05). 지역별 산불 발생 현황을 확인한 결과 경상북도에서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고, 산불피해 면적은 강원도가 가장 넓은 특징을 보였다. 또한, 지역별 시계열적 주기성은 산불 발생빈도가 높은 순으로 FFT-Power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공통적으로 약 11~12개월 사이의 주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요일별로 산불 발생빈도를 확인한 결과 요일별로 산불 발생빈도가 뚜렷하게 다르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P<0.001). 따라서 산불 발생빈도는 기상 현상 등 자연과학적인 요소와 함께 인문사회적인 요소 모두와 높은 관계에 있었다.
본 논문은 필리핀 로컬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밝히고 일반커피 대비 스페셜티 커피에 대해 소비자들이 부여하는 가치를 추정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소비자 잉여를 극대화하는 스페셜티 커피의 최적 가격을 분석하여 커피 농가를 포함한 생산자, 투자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주 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들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소비하는 커피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남. 그러나 공통적으로 주로 아침에, 집에서, 습관적으로 커피를 섭취함. 가장 선호하는 커피의 맛은 단맛과 쓴맛임.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양조 커피, 압착 커피를 소비함. 2. 고품질의 원두를 엄선하여 만들어지는 스페셜티 등급의 커피 한 잔에 대한 소비자의 평균 지불의사가격은 일반 커피 (42페소) 대비 271% 높은 156페소(약 3.2달러)로 분석됨.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사전적 인지도가 높을수록, 향후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구매 의사가 강할수록 스페셜티 커피에 보다 높은 지불의사가격을 표현함. 3. 로컬 스페셜티 커피는 원두 구매, 가공 및 로스팅, 등급 평가 비용이 발생하여 적절한 가격 인상이 요구됨. 기존 일반 커피 가격대비 40% 인상까지 소비자 후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스페셜티 커피 가격이 일반커피 가격대비 50% 이상 인상되는 경우에는 소비자들의 후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4. 필리핀 소비자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높은 선호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지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가 로컬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시장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음. 이는 필리핀 커피 로드맵, 필리핀 농무부의 지속 가능한 발전 계획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임.
본 연구는 성페로몬에 대한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 및 중복 교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성페로몬 성분인 Z9-14:Ac에 대한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은 농도 의존적으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다. 조사한 7성분 중 Z9-14:Ac 성분에 대한 촉각 반응이 가장 컸다. 성페로몬의 혼합 성분에 대한 촉각 반응이 단일 성분에 비해 컸다.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은 실험실 조건에서 중복교 미가 가능하고, 첫 교미율이 58.3%인데 비해서 두 번째 교미율이 72.2%로 증가하였다. 교미한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과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의 차이가 없었다. 성페로몬 트랩에 교미하지 않은 수컷이 시험기간 중에 포획되지 않았다. 대조구인 교미하지 않은 암컷 성충을 장착한 트랩에서도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은 포획되지 않았다. 비록 실내에서 교미한 수컷 성충은 성페로몬 성분에 대해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처럼 촉각 반응을 보였다고 할지라도 실제 야외 망실 하우스에서 교미를 한번 한 수컷 성충은 비행 능력 등 활력의 문제로 트랩에 포획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야외 노지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에 대한 수컷 성충의 유인 정도는 추후 좀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