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장항고와 관련된 쟁점과 개정 법률안 등의 제안 KCI 등재

Proposals for issues and amendments related to the appeal of warr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857
  • DOIhttps://doi.org/10.15335/GLR.2021.14.3.00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영장청구와 영장기각결정을 둘러싸고 검찰과 법원의 갈등이 지속되고, 이러한 행태는 국민들에게 사법체계에 대한 불신을 가중·심화시키고 있다. 구속영장기각을 통계적으로 보면 2019년 현재 검사의 구속영장 직접 청구에 대한 판사의 기각률이 30%에 육박하고 있다. 이것은 독일이나 일본의 경우 6% 이하에 불과한 것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로 이것은 주로 검찰과 법원의 구속기준이 상이함에서 오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를 검찰의 수사의 편의만을 고려한 무리한 영장청구와 법원의 유한자로서의 자의적 판단에 의한 오류로서 표현되기도 한다. 문제는 검찰의 무리한 영장청구는 영장전담판사가 기각하여 바로 잡을 수 있으나 법원의 오류에 의한 영장기각은 불복할 방법이 없어 정당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영장기각에 대한 불복의 필요성은 피의자는 구속되면 구속적부심사의 기회를 가지나 검사는 구속영장이 기각되면 현행법상 불복할 기회를 가질 수 없다. 그러나 구속적부심사에 대응하여 영장재청구를 할 수 있으므로 피의자와 검사 간의 불평등은 상쇄된다. 그러나 구속적부심사와 영장재청구는 실무적으로 당해 사건에 영장전담판사의 구속 여부 결정에 대한 재심사를 받기보다는 영장 결과 이후의 사정 변경에 의해 재청구 당시의 범죄사실을 가지고 심사를 받는 것이어서 정당성 확보를 위해서도 상급법원에의 불복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이것은 구속영장실질심사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에 있다. 그것은 구속영장실질심사는 기소 후의 공판정에서 실체를 다루는 재판이 아니고, 수사기관의 초동수사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된 시간 내에 간단한 피의자 심문과 변호인의 변론에 의해 구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판사가 합리적인 의심 없이 구속사유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그러므로 판결문과 같이 명확성의 원칙을 갖추어 실체적 사유를 밝히기에는 제약된 구조로 이를 위해 간단한 단문으로 그 사유를 밝히는 것으로 법관의 판단에 대한 오류는 당연히 높을 수밖에 없고 그렇다면 이에 대한 안전장 치가 필요한 것으로 상급법원에 불복을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대법원은 판사의 영장기각에 대해 영장 재청구라는 간접적 불 복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고 있어 헌법상의 기본권침해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영장재청구는 횟수 제한이 없고 또한, 영장전담판사의 당해 사건의 잘못된 결정에 대한 재심사가 아니라 재청구된 범죄사실을 가지고 재구속 여부를 판단한다. 이렇게 될 경우 추가적 범죄의 수사로 장기간 수사가 예정되어 피의자의 인권에 심각한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미 주요선진국들은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에서는 영장항고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최근 법원과 검찰의 갈등은 더 심화된듯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피해자의 인권과 사회방위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피의자의 인권을 위하여도 영장항고제의 도입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In Korea, conflicts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court over warrant claims and the revocation of warrant continue for a long time, and the conflicts have intensified public distrust of the judicial system. Statistically, the judge's rejection rate of the prosecutor's direct request for an arrest warrant is close to 30% as of 2019. This i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less than 6% in Germany and Japan, which is attributed mainly to different standards of prosecution and court, and is often described as an error due to excessive warrant claims and an error based on arbitrary judgment as a finite character. The problem is that the prosecution's excessive claim for warrants can be corrected by the judge’s rejection, but the court's error has no procedure to correct the dismissal of warrants, which shows the limitation of fairness. The necessity of appealing against the dismissal of the warrant is that if a suspect is arrested, the suspect will have a chance to detention suitability examination, but if the arrest warrant is dismissed by the court, the prosecutor will not have a chance to correct the judge’s dismissal However, the inequality between the suspect and the prosecutor is offset because a warrant can be requested in response to the reclaim of warrant. However, because, in practice, the review of the detention suitability examination and the reclaim of warrant are reviewed by the judge based on the facts of the crime at the time of the re-appeal due to a change in circumstances after the result of the warrant, rather than undergoing a reexamination of the decision on whether or not to be detained, it seems necessary to correct. Also, this is a structural problem of the substantive examination of the arrest warrant itself. It is not a trial that deals with the substance in a post-indictment trial, but determines whether to be arrested within a limited time by simple interrogation of suspects and defenses based on the investigative agency's initial investigation results, there is a limit to the judge's reason for arrest without reasonable doubt; and thus, it is a constrained structure to reveal the true cause with the principle of clarity and ruling, which increases the judge’s error, therefore it should be able to file a complaint at higher court as a safety measure. However, the Supreme Court says that because it has opened the procedure to indirectly correct the judge's dismissal of the warrant, the court has position that there is no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in the Constitution. However,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requests for re-examination of warrants, and the judge decides whether to re-arrest based on the fact of the re-applied crime, rather than reexamination of the wrong decision in the case. In this case, the investigation of additional crimes may lead to a long-term investigation, which may result in serious violations of the suspect's human rights. Major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operated the warrant appeal system in Britain, the United States, Germany, France, and Japan. The conflict between the courts and the prosecution seems to have intensified recently. In such a case, it seems more necessary to introduce a warrant appeal system for the human rights and social defense of suspects.

목차
국문요약
Ⅰ. 시작하며
Ⅱ. 구속영장 관련 통계분석과 쟁점 사례 검토
Ⅲ. 영장항고제도 도입의 여러 쟁점과 판례 및 외국의 입법례 검토
Ⅳ. 형사소송법 개정 법률안 등의 제안
Ⅴ. 마치며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재빈(선문대학교 법·경찰학과) | Kim Jae Bin (Department of Law & Police at Sunmoon University)
  • 송광섭(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Song Kwang Soub (Wonkwang University of Law Schoo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