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덕과교육에서 윤리학의 역할 고찰 KCI 등재

A Study Regarding the Role of Ethics in Moral Education through Subje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42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도덕과교육이 다른 도덕교육의 접근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윤리학이 도덕과교육에서 어떤 역할과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발달의 최고 수준에 도달하는 사람들이 극히 적다는 발달이론의 모순성은 발달의 불연속성을 설명하도록 촉구하였고, 여러 실증 연구에서 교육이 높은 수준의 도덕 발달을 이끄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포괄적인 사회적 경험 자체는 때때로 도덕성 발달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높은 수준의 도덕 발달을 이끄는 교육의 구체적 영향은 도덕적 문제를 적합하게 이해하고 설명, 판단 내리는 ‘도덕적 추론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또한, 도덕 발달은 도덕 판단의 자연적 정당화에서 원리적 정당화로의 윤리적 담론 수준의 이동을 의미하므로 학생들은 먼저, 질 높은 ‘도덕적 사고의 내용과 형식’을 배워야 한다. 따라서, 도덕과교육에서 윤리학은 도덕을 공부하는 방법적 측면에서 도덕적 추론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 도덕 공부의 내용을 구성하며 도덕 판단 및 의사결정의 원리적 정당화의 틀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인지 혹은 사회인지에 기반한 도덕과교육은 다른 도덕교육과는 구별되는 특장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도덕과교육의 실효성은 이러한 차이를 고려해서 평가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ains that moral education through studies has distinctive characters and advantages from other methods of moral education and then tries to clarify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ethics in moral education through subjects. There are contradictions of developmental queries alternative accounts for discontinuities of development, in which very few people reach to the highest level of development. Moreover, in many empirical studies, regular schooling has been identified as a variable leading to high levels of moral development. It is because comprehensive social experience itself can sometimes interfere with moral development, and the specific impact of education has lead to high levels of moral development that lies in fostering the “moral reasoning ability” to adequately understand, explain, and judge moral issues. In addition, at ethical discourse levels, moral development means a shift from natural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 to a principled justification, so students should learn contents of moral thinking of high-quality. Thus, ethics in moral education through subjects plays a central role in raising abilities of moral reasoning in terms of how to study morality. Also it would constructs learning contents and provides reasons of principled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Moral education through subjects based on cognition or social cognition has distinctive features from other moral educa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should be evaluated in consideration of these differences.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높은 수준의 발달을 이끄는 변인으로서 교육
    1. 발달이론의 모순성
    2. 불연속적 발달에 대한 대안적 설명
Ⅲ. 도덕과교육에서 윤리학
    1. 교육에서 도덕적 추론의 중요성
    2. 도덕 판단의 원리적 정당화에 관한 윤리학의 역할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상희(광주교육대학교) | Lee Sang Hee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