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증가에 따른 단안 조절반응과 조절지체의 변화량
목적: 본 연구는 연령증가에 따른 안경굴절검안에 있어서 조절반응과 조절지체 간의 변화량의 영향 관계를 검정하는데 있다.
방법 : 연령증가에 따른 원점과 근점의 자극에 대응하는 조절 반응점 (ARf, ARn)을 연구하기 위해서, 선조 검영기를 사용하여 정시 74개 (남: 37, 여: 37)의 단안을 대상으로 굴절검사를 진행하였다. MEM 0.4 시력카드의 스넬린 (Snellen chart) E 단일문자를 검영기헤드 (No 18235, WelchAllyn, USA) 전면에 부착한 선조 검영기를 사용하여 조절 반응을 확인하였다.
결과 : 연령증가에 따른 원점 조절반응의 경우Ⅰ>Ⅱ, Ⅲ, Ⅳ의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나머지 근점 조절반응과 조절지체는 Ⅰ, Ⅱ, Ⅲ<Ⅳ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연령증가에 따른 원점 조절반응과 조절지체 간의 통계적 조절효 과는 Ⅰ·Ⅱ〉Ⅰ·Ⅲ〉Ⅰ·Ⅳ의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40대 이후 연령의 증가에 따른 시축상의 원점 조절반응의 절댓값과 조절지체는 각각 감소하고 증가함에 따라 원거리 안경굴절검사를 위한 안와 내 조절반응의 기준점을 달리 적용하여야 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change of the influence of accommodative response and the accommodative lag in spectacle refraction with increasing age.
Methods : In order to research into the accommodative response point that corresponding to the stimulus on the far and near point (ARf, ARn) with increasing age, the refractive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74 monocular subjects with emmetropia (males: 37, females: 37) using streak retionscopy. The accommodative response value was obtained with the retinoscope that a 0.4 MEM Snellen single E card (BC11981 bernell) wa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retinoscope head (No 18235, WelchAllyn, USA).
Results : In the case of ARf with increasing age, it showed significant results of Ⅰ〉Ⅱ, Ⅲ, Ⅳ, and the remaining ARn and accommodative lag showed significant results of Ⅰ, Ⅱ, Ⅲ〈Ⅳ. The statistical moderation effects between ARf and accommodative lag with increasing age showed significant results of Ⅰ·Ⅱ〉Ⅰ·Ⅲ〉Ⅰ·Ⅳ. Conclusion : The criteria point of accommodative response in the orbit for distant spectacle refraction test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as the absolute value of ARf on the ocular axis and accommodative lag with increasing age after 40 years i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