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NaF 첨가량이 흰쥐의 NEFA 및 Uric Acid 농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NaF Contents on the NEFA and Uric Acid Concentrations in R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6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NaF 경구 투여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혈청 중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G군과 기본식이에 NaF 경구 투여군(NF3~50군) 9그룹의 식이군으로 나누어 5주간 실험사육을 행하였다. 흰쥐의 NEFA와 BUN, creatinine, uric acid 농도는 NaF 농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고농도의 NaF 투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관찰되었다(α=0.05). 한편, 전해질 농도 중 total calcium (T-Ca)과 인(Pi) 농도는 대조군보다 NaF 투여군에서 낮게 동정되었으며, NaF 20 mg 이상 경구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α=0.05). 흰 쥐의 NaF 경구 투여 처리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EFA 및 BUN, creatinine, uric acid의 농도가 상승하였으며, 전해질 농도는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신장 기능 장애 등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values on Sprague-Dawley rats, used sodium fluoride (NaF) for 5 weeks. Seven-week-old male rats were divided into nine 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with oral NaF treatment, basal diet group (BG), basal diet plus oral NaF groups (NF3~NF50). Concentrations of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in seru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al NaF groups than BG (α=0.05). Total calcium (T-Ca) and phosphorus (Pi) concentrations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NaF levels (α=0.05). Accordingly, sodium fluoride exposures and dose-response relationship, which was found on the bad influences in hematology. Such association is considered that the long-term fluoride exposure caused nephrotoxicity.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실험재료
    2.2. 실험 동물의 처리
    2.3. 식이조성 및 실험군
    2.4. 전해질 농도의 정량
    2.5. Uric acid 농도의 정량
    2.6.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농도의 정량
    2.7. Blood urea nitrogen (BUN) 및creatinine농도의 정량
    2.8. 통계 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전해질 농도
    3.2. Uric acid 농도
    3.3.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농도
    3.4. Blood urea nitrogen (BUN) 농도
    3.5. Creatinine 농도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한수(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Han-Soo K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