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domestic soybean cultivar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otein and fat contained in soybeans.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soybeans included palmitic acid at 9.47~11.15%, followed by stearic acid and myristic acid. The total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soybeans was 12.56~14.34%, with Taekwang having the lowest content, followed by Daewon, Seonyu, Cheonga, and Jinpung. The linoleic acid content, an unsaturated fatty acid, was 45.69~58.17%, with Taekwang showing the lowest composition and Jinpung showing the highest composition. Next was oleic acid at 14.69~33.86%. Jinpung had the highest linoleic acid composition, had the lowest and Taekwang which had the least linoleic acid, had the highest.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in the order of linolenic acid, eicosatrienoic acid, eicosadieno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217.28~456.66 mg%, with Daewon showing the highest free amino acid content, followed by Seonyu, Taekwang, Cheonga, and Jinpung. The free amino acid content varied depending on the cultivars, but in general, the free amino acids in the soybeans used in the experiment showed higher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proline contents than other amino acids.
        4,000원
        2.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은 식품원료로서 영양적 가치가 우수하지만 소비자의 기호도 개선을 위해 가공공정기술의 적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을 다양한 추출 공정(온수, 열수, 초음파, 고압 추출)으로 처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유리아미 노산 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유리아미 노산 함량 및 조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향상되었다. 특히 고압추출물에서 유리아미노산 총량과 필수아미노산 분포 비율이 각각 2.9, 4.6배 증가하여 고압 처리가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증가 및 조성 개선에 가장 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지방산 조성은 초음파 추출물과 고압 추출물에서 개선되었다. 원료에 비해 포화지방산 비율은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증가하여 기존의 주요 단백질급원인 육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 섭취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은 초음파 추출과 고압 추출에 의해 유리아미노산과 지방산의 품질 특성이 개선될 수 있으므로 해당 추출물은 식약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후 초음파 추출과 고압 추출 공정의 최적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의 활용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3.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이조성에 동결 건조한 krill (Euphausia superba) meal을 첨가 하였을 때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유리지방산(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식이조성은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GC군(krill meal 미함유)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10.0%, 20.0%, 30.0%의 krill meal 급여군을 각각 G10군, G20군, G30군으로 구분하였다.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흰쥐의 NEFA와 BUN 농도는 krill meal 급여군(G10군, G20군, G30군)에서 대조군(GC 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보였고, creatinine과 uric acid 농도는 G10군에서는 GC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G20군과 G3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전해질 농도에서 total calcium (T-Ca)은 G20군과 G30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인(Pi) 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4,000원
        4.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자색 알곡 품종으로 등록된 색소 2호 옥수수 알곡의 일반성분 및 색소 함량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색소 2호 알곡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은 각각 8.84%, 1.44%, 5.46%, 10.31%이었다. 색소 2호 알곡의 유리당 성분으로 fructose, glucose, malt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sucrose (1.00%) > glucose (0.63%) > maltose (0.52%) > fructose (0.44%) 순이었다. 색소 2호 알곡의 지방산 분석결과 총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되었으며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은 16.09 : 83.91로 linoleic acid가 50.8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소 2호 알곡 추출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0.24%였고, 알곡 추출물을 HPLC-MS/MS로 분석한 결과 색소 2호 알곡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색소는 C-3-G, Pg-3-G, Pn-3-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treatment of eliminating FFA is needed to make biodiesel from animal fat recovered from leather wastes because its acid value is hig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4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which are heterogeneous catalyst method, ion exchange resin method, low pressure.high temperature method, and alkali method on the eliminating FFA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eliminating FFA increased in the order of alkali method > catalyst method > low pressure high temperature method > ion exchange method. In the case of pretreatment of alkali method using NaOH, the rate of eliminating FFA appeared more than 86% regardless of acid value.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alkali method using NaOH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view of economical and productive aspects, taking it into account that the acid value of animal fat recovered from fleshing scrap generated during leather making processes was 7 to 8.
        4,000원
        9.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상사료내의 지질에 철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사료(Common feed)와 물을 혼합한 비정상 사료내에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정상사료(P<.05)와 비정상사료(P<.01)내의 Vitamin E 함량은 1.75mg/g(실험 1일째) 로부터 0.25mg/g(실험 11일째)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2. 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8mg/g(대조군)로부터 17.6mg/g(20% 철분 혼합군)로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3. 비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9mg/g(대조군)로부터 17.4mg/g(20% 철분 혼합군)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4. 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비정상사료내의 함량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정상사료와 비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불포화 지방산에 있어서 날짜 경과별 및 철분 혼합 수준별 간의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4,000원
        10.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쥐의 암컷에서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creatinine 및 prostaglandin의 혈액내 함량을 측정하여 실험 동물로써의 생리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또한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른 이들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신과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예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마리의 임신하지 않는 쥐를 대조군으로 하고 임신한 쥐 35마리를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5개의 임신군과 2개의 분만군) 100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임신21일군이 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2) 쥐 암컷의 혈청내 인지질 함량은 의 범위였고 임신21일군과 분만후 36시간군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지만, 각 실험군 및 전체임신군과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간에는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3) 쥐 암컷의 혈청내 creatinine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 현저한 차이가 안정되지 않았지만, 임신21일군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4)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임신9일(), 12일() 및 15일()군 등이 낮은 수준인데 비하여 임신18일군()부터 대조군보다 증가되기 시작하여 임신21일군()과 분만후 12시간군()까지 계속 증가하여 최고수준에 달했으며 분만후 36시간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p<0.01)차이가 안정되었고 특히 전체임신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과 천체임신군의 평균함량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5)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및 creatinine 함량은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임신말기와 분만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6)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분만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4,000원
        1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major compounds of Angelica species are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nodakenin, umbelliferone and β-sitosterol, which act anti-inflammatories, reduce pains, protect the liver and enhance the immune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s, minerals, metals, sugars and overall amino acid composition in Angelica gigas Nakai. Methods and Results : Powder of Angelica roots smaller than 30 mesh were used. Physico chemical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carbohydrates (62.0%), crude proteins (13.9%), moisture (11.4%), crude fats (7.3%) and ash (5.4%). Results showed that potassium was present in the highest amount (1,859 ppm), followed by magnesium (214.5 ppm), calcium (147.3 ppm) and sodium (6.0 ppm). Free sugar profiles showed the presence of sucrose (29.3 g/100 g). The total amino acids concentrations was 9,752 ㎎/ 100 g, the most common and dominant amino acids were arginine (2,181 ㎎/100 g), glutamic acid (1,212 ㎎/100 g) and aspartic acid (834 ㎎/100 g). The total free amino acids contents was 1,476 ㎎/100 g, in which the most common amino acid were arginine (932 ㎎/100 g), glutamic acid (127 ㎎/100 g), and γ-aminobutyric acid (80.4 ㎎/100 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A. gigas showed a higher concentr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ic acid (443.9 ㎎/100 g) and palmitic acid (181.3 ㎎/100 g) according to gas chromatograph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Angelica roots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of foods and medicines, and in the preparation of cosmetics.
        13.
        198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종자의 열매송이를 원이라 가정하고 그 원의 반지름을 3등분한 원을 각각 작도하여 1차원의 부분을 중앙부, 2차원의 부분을 중간부, 3차원의 부분을 외부라 구분하고 각 부위에 착생한 종자의 크기 및 ginsenoside, 유리당, 지방산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1. 100입의 종자중과 배유중은 열매송이의 외부나 중간부에 착생한 종자에 비해 중앙부에 착생한 종자에서 현저히 작았다. 2. 1입과의 종자가 2입과의 종자에 비해 소립이었고, 1입과의 착생비율은 열매송이의 외부나 중간부에 비해 중앙부에서 증가되었다. 3. 종자내의 주요 ginsenoside 는 Re, Rb1 , Rb2 ,Rd 였고, 종자의 착생위치별는 Rb2 와 총사포닌 함량은 중앙부쪽에 착생한 종자일수록 감소했으나 Rd 함량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4. 종자내의 주요유리당은 sucrose, glucose 였고, 종자의 착생위치별로 보면 sucrose 는 열매송이의 중앙부쪽에 착생한 종자일수록 그 함량이 점점 감소되었다. 5. 종자내의 주요지방산은 oleic 산과 linoleic 산이었고, palmitic 산과 linolenic산의 함량은 종자의 착생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