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철분이 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on on the Tocopherol and Free Unsaturated Fatty Acid Concentrations in Common Fe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6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정상사료내의 지질에 철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사료(Common feed)와 물을 혼합한 비정상 사료내에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정상사료(P<.05)와 비정상사료(P<.01)내의 Vitamin E 함량은 1.75mg/g(실험 1일째) 로부터 0.25mg/g(실험 11일째)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2. 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8mg/g(대조군)로부터 17.6mg/g(20% 철분 혼합군)로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3. 비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9mg/g(대조군)로부터 17.4mg/g(20% 철분 혼합군)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4. 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비정상사료내의 함량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정상사료와 비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불포화 지방산에 있어서 날짜 경과별 및 철분 혼합 수준별 간의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In order to know the effects of iron the lipid characteristics in common feed, vitamin E and free unsaturated fatty acid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using feeds with(uncommon) and without(common) water added. The vitamin E concentrations in common feed(P<.05) and uncommon one (P<.01) showed statistically continuous decreasing figure from 1.75mg/g(1 day) to 0.25mg/g(11 days). The free unsaturated fatty acid concentrations in common feed showed also statistically continuous decreasing figure from 23.8mg/g(control group) to 17.6mg/g(20% ferrous sulfate group) (p<.01). On the mean time, quantitative values in uncommon feed have shown statistically continuous decreasing figure from 23.9mg/g(control group) to 17.4mg/g(20% ferrous sulfate group) (P<.01). The concentrations of vitamin E and free unsaturated fatty acid in common feed was higher than those in uncommon one,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recognized. The interactions between time lapse and ferrous sulfate were recognized in respect to the vitamin E and free unsaturated fatty acid in common and uncommon feed.

저자
  • 모기철(경북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
  • 허린수(경북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
  • 김성훈(한국 화학연구소)
  • 도재철(경북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
  • 이영호(경북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