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21년 이른 가을 남해 서부 해역의 수괴 분포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공간분포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n spati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relation to water masses in the western South Sea, Korea in early autumn 2021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0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가을 한국 남해 서부 해역의 수괴분석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공간분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2021년 9월 15개 정점의 표층과 엽록소 a 최댓층 (CML)을 대상으로 조사하 였다. 결과, 수괴는 고온, 저염의 연안수 (CW), 고온, 고염 의 쓰시마난류 (TWC) 및 이 두 수괴의 혼합특성을 보이 는 혼합수 (MW)로 구분되었다. 용존산소 포화도는 표층에서는 95% 이상을 보이지만, CML 일부 해역은 낮은 불포화 상태를 보였고, 탁도는 표층과 저층 모두에서 농도가 높았다. 엽록소 a 농도는 표층이 0.90±0.43 μg L-1 변동 폭 으로 연안수에서 1.1 μg L-1 이상, 혼합수에서 1.0 μg L-1 전 후, 그리고 쓰시마난류에서 0.5 μg L-1 이하를 나타내었다. CML은 1.64±0.54 μg L-1 변동 폭으로 표층보다 약 2배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은 31속 57종으로 규조류가 57.8%, 와편모조류가 35.1%, 규질편모조류 5.3%, 그리고 은편모조류가 1.8%로 단조로웠다. 현존량은 표층이 4.6± 7.6 cells mL-1 변동 폭으로 연안에서 30 cells mL-1 이상, 혼 합수에서 2~5 cells mL-1, 그리고 쓰시마난류에서 2 cells mL-1 이하를 나타내었다. CML은 5.7±8.4 cells mL-1 변동 폭으로 표층보다 다소 높았다. 5% 이상 우점율을 보이는 우점종은 표층에서 Rhizosolenia flagilissima f. flagilissima, Skeletonema costatum-ls, Nitzschia sp./small size가 각 8.4%, 6.1%, 5.2% 순이었고, CML은 Rh. flagilisima f. flagilissima가 12.0%의 우점율을 나타내었으나, 낮은 현존량으로 우점 종에 대한 의미 부여가 어려웠다. 다양도 지수는 표층이 2.36±0.40 변동 폭으로 쓰시마난류에서 높고, 혼합수에서 낮았고, CML은 2.29±0.52 변동 폭으로 표층보다 다소 낮았다. 우점도 지수는 표층이 0.50±0.15 변동 폭으로 혼합 수에서 0.5 이상, 쓰시마난류에서 0.5 이하로 다양도와 다 른 특성을 보였다. 상관분석 및 주성분 분석 결과는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은 연안수 및 혼합수에서 높고, 높은 탁도를 보인 일부 혼합수 및 쓰시마난류에서 낮은 것에서, 각 수괴의 확장 및 혼합 정도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 및 분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water masses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t 15 stations on the surface and chlorophyll a maximum layers (CML) in the western South Sea of Korea from September 8 to 9, 2021. As a result, water masses were classified into Coastal Waters (CW) with relatively low salinity,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with high water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and mixed waters (MW) showing a mixture of these two water masses. Turbidity showed high concentration in both the surface and CML.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as low as 0.90±0.43 μg L-1 in the surface, more than 1.1 μg L-1 in CW, around 1.0 μg L-1 in MW, and less than 0.5 μg L-1 in the TWC. CML was 1.64±0.54 μg L-1. Regarding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there were 57 species in 31 genera (diatoms, 57.8%; dinoflagellates, 35.1%; and other phytoflagellates, 7.1%). The phytoplankton standing crop had 4.6±7.6 cells mL-1 in the surface, more than 30 cells mL-1 in the CW, 2-5 cells mL-1 in the MW, and less than 2 cells mL-1 in the TWC. CML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surface with a variation of 5.7±8.4 cells mL-1. Dominant species were found to be Rhizosolenia flagilissima f. flagilissima, Skeletonema costatum-ls, and Nitzschia sp./ small size in the surface. For the CML Rh. flagilisima f. flagilissima showed a dominance of 12.0%. For the surface, the diversity variation was 2.36±0.40, which was high for TWC but low for MW. For CML, the diversity variation was 2.29±0.52,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surface. The dominance in the surface was 0.50±0.15, with a fluctuation range of more than 0.5 in MW and less than 0.5 in the TWC,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diversity.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he presence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was high in CW but low in MW and TWC. That is,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early autumn were strongly affected by the expansion and mixing of water masses in western South Se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환경인자
    2. 엽록소 a 농도
    3. 식물플랑크톤 군집
    4. 식물플랑크톤 출현 및 분포 특성
적 요
REFERENCES
저자
  • 윤양호(전남대학교 해 양융합과학과) | Yang Ho Yoon (Department of Ocean Integrated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