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bolic resistance mechanisms of Laodelphax striatella to several insecticides, such as neonicotinoids, organophosphates and pyrethroids, have been investigated by evaluating the transcription levels of CYP450 genes. Nevertheless, no study on the CYP450-mediated carbamate resistance in L. striatella has been conducted to date. Here, we determined the transcription levels of six CYP450 genes and one carboxylesterase gene to screen detoxification genes associated with carbamate resistance. The CYP6CW1 exhibited the highest transcription level (18 fold) in a resistance strain. Interestingly, its transcription level increased slightly (3 fold) in a susceptible strain upon the exposure to a sublethal dose (LC30) of carbofura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YP6CW1 expression is inducible by carbofuran and its overexpression is likely responsible for carbofuran tolerance and resistance in L. striatella.
ReαlITent aphthous stomatitis (RAS) appears to be one of the most common oral diseases. However, the defmitive etiology of RAS is not well established, though many etiologic faαors have been suggested and examined. The present study was pet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IA and Korean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pa디ents. πle proportions of class 1 and class II HIA types expressed in 49 Korean subjects affected by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RAS) and in 50 healthy controls were deteffi1Í11ed by microlymphocytotoxicity test. 까le sig띠ficance of the data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Fisher' s exact test. πle proportions of HIA-Cw1 and -DR9 antige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AS pa디ents (p(0.05), whereas those of HIA-DR4 and -DQ2 antigen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까le odds ratio (OR) were 2.8 for HIA-Cw1 and 2.7 for -DR9. πle etiologic fractions (EF) were 0.262 and 0.193, respectively. The results s맹gest that, in Koreans, there Í$ a sig띠ficant relation between HIA antigens and RAS. Genetic faαors , reflected in the HIA type, may play an in1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AS.
The UBV observations of the close binary system CW Cephei were made from August 198:3 to December 1984 during 25 nights using the 61cm Boller and Chivens reflector at the Sobaeksan Astronomy Observatory. The new UBV light curves were analyzed with the recent Wilson-Devinney binary model. Our photometric solution for CW Cep were well consistent with those of Clausen &. Gimenez (1991). Using our photometric solution and Popper & Hill (1991) spectroscopic one, each absolute masses and radii of components for CW Cep were derived as 13.63 M⊙ and 5.83 R⊙ for the primary, and 12.18 M⊙ and 5.14 R⊙ for the secondary, respectively.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은 20×12×20cm 크기로 제작하였으며 반응조 총 용적은 4.8L(유효용적 4.3L)이다. 인공습지 충진 여재는 생초액비 폐잔류물과 황토 및 점토를 혼합하여 지름 5~10mm의 크기로 제조한 황토볼을 사용하였으며, 반응조 하부로부터 높이 13.5cm(유효용적 대비 75%)까지 황토볼을 충진 하였다. 그리고 그 위에 모래를 반응조 높이 20cm 까지 충진 하였다. 모래는 지하흐름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의 식물 식재 및 뿌리의 기공확보를 위하여 사용 하였으며, 식물로 갈대를 반응조내 식재 가능한 만큼 충분히 식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류식 반응조 단일공정에서 Oxic, Anoxic 공정이 존재하도록 Zone을 구분한 상태에서 tidal flow 방식으로 운전하였다. 체류시간은 96hr로 운전을 실시하였으며, 침지율 25% 지점에서 반송을 실시하였으며, 반송률은 1Q, 2Q, 4Q로 변화시켜가며 반송률에 따른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효율을 살펴보았다. 처리수는 pH, SS, CODMn, T-N, T-P를 분석하였으며, 유입수의 평균농도는 pH 6.6~6.8, SS 7.0mg/L, COD 44.22mg/L, T-N 35.81mg/L, T-P 0.67mg/L 이었다. 그 결과 pH는 반송률에 관계없이 6~8사이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S는 모든 반송률 조건에서 유입수 유입시 모래층을 거쳐 반응조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부유물질이 거의 없는 수준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는 반송률 1Q 보다는 2Q 이상으로 운전할 때 COD 제거에 있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N은 반송률 2Q 이상의 조건에서 T-N 농도가 약 4~5mg/L 수준까지 감소하여 그 농도수준으로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송률은 2Q 이상으로 반송을 실시하여야 COD 및 T-N의 제거효율이 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송률 2Q에서는 제거효율이 COD 70%, T-N 87%, 4Q에서는 COD 73%, T-N 89%로 나타나 2Q 이상의 반송률에서는 반송률 증가에 따른 처리효율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P는 반송률에 관계 없이 매우 낮은 농도로 유출되어 반송률별 처리효율 비교가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반송률을 2Q 이상으로 실시할 경우 1Q의 반송률 보단 T-P가 좀 더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Q 이상의 반송률에서는 반송률 증가에 따른 COD, T-N 처리효율 변화가 미미하여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최적 반송률은 2Q인 것으로 판단된다.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 최적 반송률(2Q) 조건에서 처리수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 농도는 SS 5.1mg/L, COD 14.6mg/L, T-N 4.71mg/L, T-P 0.32mg/L로 나타났다. 이는 하수도법 시행규칙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수질기준(1일 하수처리용량 500㎥ 미만 50㎥ 이상) SS 10mg/L, COD 40mg/L, T-N 20mg/L, T-P 2mg/L 농도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은 20×12×20cm 크기로 제작하였으며 반응조 총 용적은 4.8L(유효용적 4.3L)이다. 인공습지 충진 여재는 생초액비 폐잔류물과 황토 및 점토를 혼합하여 지름 5~10mm의 크기로 제조한 황토볼을 사용하였으며, 반응조 하부로부터 높이 13.5cm(유효용적 대비 75%) 까지 황토볼을 충진 하였다. 그리고 그 위에 모래를 반응조 높이 20cm 까지 충진 하였다. 모래는 지하흐름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의 식물 식재 및 뿌리의 기공확보를 위하여 사용 하였으며, 식물로 갈대를 반응조내 식재 가능한 만큼 충분히 식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류식 반응조 단일공정에서 Oxic, Anoxic 공정이 존재하도록 Zone을 구분한 상태에서 tidal flow 방식으로 운전하였다. 체류시간은 48, 96hr로 운전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체류시간동안 운전을 실시한 후 처리수 유출은 침지율 25% 및 50% 지점에서 실시하여 pH, SS, CODMn, T-N, T-P를 분석하였다. 유입수의 평균농도는 pH 6.6~6.8, SS 7.0mg/L, COD 44.22mg/L, T-N 35.81mg/L, T-P 0.67mg/L 이었으며,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에서 체류시간 및 침지율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pH는 운전기간동안 6~8사이로 안정적으로 운전되어졌으며, SS는 모든 운전조건에서 유입수 유입시 모래층을 거쳐 반응조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부유물질이 거의 없는 수준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지율에 따른 COD 및 T-N 제거효율을 비교하여 본 결과 침지율 25%가 50% 보다 COD는 12%, T-N은 14% 더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같은 침지율 조건에서 체류시간에 따른 COD 및 T-N 제거효율을 비교해 본 결과 체류시간 48hr 보다는 96hr에서 COD가 8%, T-N이 11% 더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COD 및 T-N은 인공습지 운전시 침지시키는 범위가 작을수록, 체류시간은 48hr 보다는 96hr에서 제거효율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질소제거는 인공습지 반응조에서의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가 클수록 질산화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조를 침지시킬 경우 상부는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나 하부에서는 혐기성 상태의 환경이 조성되어 호기성 및 혐기성 환경 하에서 질산화 및 탈질에 의한 질소제거 기작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진다. T-P는 모든 운전조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류시간 96hr에서 침지율 25%로 운전한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해 좀 더 나은 인 제거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에서의 체류시간 및 침지율 변화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을 살펴본 결과 체류시간은 96hr, 침지율은 25%로 실시하는 것이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에 있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New observations for the times of minimum lights of a well-known apsidal motion star CW Cephei were made using a 0.6 m wide field telescope at Jincheon station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Korea during the 2015 observational season. We determined new times of minimum lights from these observations and analyzed O-C diagrams together with collected times of minima to study both the apsidal motion and the Light Time Effect (LTE) suggested in the system. The new periods of the apsidal motion and the LTE were calculated as 46.6 and 39.3 years,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but improved accuracy than earlier ones investigated by Han et al. (2002), Erdem et al. (2004) and Wolf et al. (2006).
Recently, the ship automation technology(SAT)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ship with minimum human efforts. Among the SAT, a distance measuring system, the key element is the signal processing unit for the interpretion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remote sensing of the oil tank. In this paper, the tank monitoring system using FM-CW is described for the oil tank level guage measurement with an emphsis of signal processing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