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민참여를 통한 생활밀착형 정원 계획 KCI 등재

A Life-friendly Garden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3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생활밀착형 정원은 거주민들의 일상생활 및 정주환경과 밀접하게 관계가 있는 범주 내에 조성된 정원을 말한다.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계획기법을 활용하여 정원 조성의 기본 계획과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두 대상지는 주거단지의 물리적 형성구조가 혼재형과 블럭형 단독주택단지로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녹지가 부족한 구도심에서는 개별적 녹지가 주민합의와 동의를 통해 공공적 녹지로 기능할 수 있었다. 둘째, 심미적 가치로 주민들이 밝아진 골목 환경을 인지하고, 꽃과 정원시설로 계절의 변화를 즐겼다. 셋째, 정원을 매개로 이웃과 소통이 일어났으며, 주민들이 계획단계부터 참여함으로써 자발적 관리로 이어졌다. 주민참여형 생활정원은 주민들의 실천적 태도라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구도심 마을정원의 새로운 유형으로 의미가 있다.

A life-friendly garden refers to a garden created within a category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and settlement environment of residents. This study prepared a basic plan and framework for the creation of a garden using resident participatory planning techniques. In addition, the two target sites have different physical formation structures of residential complexes as mixed and block-type detached housing complexes. Through this study, first, individual green areas could function as public green areas through residents' agreement and consent in the old town where green areas were insufficient. Second, residents recognized the bright alley environment with aesthetic values and enjoyed the change of seasons with flowers and garden facilities. Third,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took place through the garden, and residents participated from the planning stage, leading to voluntary management. The resident-participating living garden is meaningful as a new type of the old town village garden that reflects the demands of the times, such as the practical attitude of the residents.

목차
1. 서론
2. 현황 분석
    2.1 대상지 개요
    2.2 사직2동 현황 분석
    2.3 금천동 현황 분석
3. 주민참여과정
    3.1 참여구성원의 틀
    3.2 주민참여과정
    3.3 주민워크숍
    3.4 주민인터뷰와 서면 설문
4. 기본계획
    4.1 계획방향
    4.2 사직동 기본계획
    4.3 금천동 기본계획
    4.4 식재계획
    4.5 참여주민 모니터링
    4.6 정원 조성 이후 변화
5. 결론
References
저자
  • 홍덕은(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Deokeun Hong (Dept. of Environment Landscape Architecture, Cheongju university)
  • 이애란(청주대학교 휴먼환경디자인학부) | Airan Lee (Dept. of Human Environment Design, Cheongj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