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통해 본 한국 대중문화의 질적 변화 KCI 등재

Qualitative Changes in Korean Pop Culture, Seen through the Netflix Drama “Squid G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5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2021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전세계에서 동시 공개되었던 <오징어 게임>은 2021년에 전세계적으 로 가장 유명한 영상콘텐츠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 작품의 성공이 흥미로운 점은 단순히 일회성이라고 하기엔 지금까지의 한국 대중문화의 역량이 폭발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작품분석 및 흥행과 파급력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있다. 특히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을 통해 노동환경, 탈북자, 이주노동자, 빈곤 등의 사회 문제를 보여주면서 한국의 양극화된 사회 현실을 스토리텔링에 잘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서구권에서 자본이 많이 투입된 영상콘텐츠에서 흔히 보이는 천편일률적인 해피엔딩이나 현실과 유리된 영웅 서사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제작되 고 있는 영상콘텐츠들의 사례를 통해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과 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quid Game, which was released as an original Netflix series simultaneously around the world in 2021, has gained tremendous success, and it became one of the world's most famous video content of 2021. It is interesting to note its success, as it is a meaningful achievement. That is, it shows that Korean popular culture is exploding in its potentials and its influence is not just temporary. To analyze such achievements, this thesis analyzes Squid Game along with its box office success and ripple effects. The study learned that, in particular, social issues 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s, North Korean defectors, migrant workers, and poverty were displayed through the protagonists in the work, and the polarized social reality of Korea was reflected well in the storytelling.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it does not have a one-size-fits-all happy ending or a hero narrative separated from reality that are often seen in some video content that is heavily capitalized in the Western worl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us and qualitative changes of Korean pop culture through examples of video content currently being produced.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예술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오징어 게임>
Ⅲ. <오징어 게임>에 대한 작품 분석
Ⅳ. <오징어 게임>의 글로벌 흥행과 파급력
Ⅴ. <오징어 게임>으로 나타난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과 질적 변화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송시형(국제사이버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과 부교수) | Song, Shi-hyeong (Associate Professor, Dept. of Entertainment, Gukje Cyber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