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딸기 수경재배에 코이어 배지 적용과 근권부 배지 용량이 생육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Coir Substrate Application and Substrate Volume on the Growth and Yields of Strawberry in a Hydroponically Cultured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딸기재배시 전용 고설베드를 사용하지 않고, 일 반 수경재배 시설을 이용하여 코이어 배지를 베드에 올려 재 배하는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토마토나 파프 리카를 재배하는 시설재배 베드에 코이어의 칩과 더스트 비율 이 5:5인 코이어 배지 1겹 처리(높이 10cm; A), 2겹으로 쌓은 처리(높이 20cm; B), 코이어의 칩과 더스트 비율이 7:3인 코 이어 배지 1겹 처리(높이 15cm; C)와 대조구로는 딸기 전용 플라스틱 화분(Control) 처리구로 하였다. 생육특성은 코이 어 배지 높이별로는 유의성이 없었고, 플라스틱 화분에서 재 배한 것이 작은 경향을 보였다. 딸기 잎의 광합성율은 처리별 로 14.68-15.76μmol CO2·m-2·s-1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 었고, 뿌리의 근활력은 배지 용량이 컸던 C와 B 처리구가 A 처리구와 대조구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장과 과폭 은 각각 4.04-4.13cm와 3.26-3.34cm로 통계적인 유의성 이 없었고, 과장과 과폭 비율은 대조구가 1.27로 A-C 처리 구의 1.23-1.24보다 뾰쪽한 형태이었다. 딸기 1주당 수확과 수는 C 처리구가 4.4개로 가장 적었고, 대조구, A, B 처리구의 6.2-6.5개로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상품수량 과수는 A 처 리구가 74개로 가장 많았고, C 처리구가 53개로 가장 적었으 며, 1주당 수량은 A 처리구가 72.38g으로 가장 컸고, C 처리 구가 48.69g으로 가장 작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딸기재배 시 전용재배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토마토나 파프리카 수경재배 시설에서 코이어 배지를 활용하여 딸기재배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만 C 처리구에서 수량이 감소한 것 은 칩과 더스트 비율이 7:3으로, A와 B 처리구의 칩과 더스트 비율이 5:5와 다른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칩과 더스트 비율 에 따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 alternative cultivating method that uses coir substrates in a hydroponically cultured system. Three treatment conditions were applied with one-layer substrate (10 cm height) with a coir chip and dust ratio of 5:5 (Treatment A), two-layer coir substrate (20 cm height) with a coir chip and dust ratio of 5:5 (Treatment B), one-layer coir substrate (15 cm height) with a coir chip and dust ratio of 7:3 (Treatment C). The control condition was a plastic container filled with a coir chip and dust ratio of 5:5. Various criteria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 treatments and the control. The yield of strawberry was smaller in the control than in the treatm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characteristic was found in the height treatments of the coir substrates. The net photosynthetic rate of the treatments was 14.68-15.76 μmol CO2·m-2·s-1. This does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oot activity was better in treatment B and C than in treatment A and the control. The length and width of leaves were measured as 4.04-4.13 cm and 3.26-3.34 cm. Thes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af length and width ratio was 1.27 in the control and 1.24 in the treatments. The findings show tha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nefit was found when utilizing coir substrates with different height treatments in the hydroponic culture system. However, the harvested fruit per plant weights 72.38 g in treatment A and 48.69 g in treatment C. The number of harvested fruit was least in treatment C in which a coir chip and dust ratio of 7:3 was applied.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how the chip and dust ratio in coir substrate affects growth characteristics.

목차
Abstract
재료 및 방법
    1. 시험재료 및 재배조건
    2. 생육 및 수량조사
    3.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생육 특성
    2. 광합성 및 근활력 특성
    3. 과실 특성
    4. 수확량 특성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홍영신(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박사후연구원) | Youngsin Hong (Postdoctoral Researcher,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Corresponding author
  • 이상규(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농업연구관) | Sanggyu Lee (Senior Research Officer,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이시영(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농업연구관) | Siyoung Lee (Senior Research Officer,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이희주(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농업연구사) | Heeju Lee (Research Office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이동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농업연구사) | Dongsoo Lee (Research Office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박민정(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농업연구사) | Minjung Park (Research Officer,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권진경(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농업연구사) | Jinkyung Kwon (Research Officer,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윤성욱(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농업연구사) | Sungwook Yun (Research Officer,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황정수(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농업연구사) | Jeongsu Hwang (Research Officer,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