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 기법을 이용한 K-콘텐츠 관련 기사(2011-2022) 분석과 함의 : 중남미를 중심으로 KCI 등재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K-Contents-related News Media Articles (2011-2022) employing Word Cloud Data Analysis Technique : Focusing on Latin Americ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동아시아의 ‘본류’에서 글로벌 차원으로 ‘지류’가 확장된 한류(Korean Wave)는 시기별, 권역별, 그리고 내용에 따라 발전 단계를 구분할 수 있 다. 한류의 발전 단계를 모두 4기(신한류 포함)로 구분한 유형 분류 틀에 따르면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인 중남미권을 위시로 하는 非아시아권은 모 두 2000년대 후반 이후인 한류 2기에 속한다. 특히, 2020년 이후를 신 한류(K-culture)로 지칭되며 이 4기의 특징은 한류의 1기의 대표 콘텐츠 인 K-drama를 필두로, K-pop, K-movie, K-food, K-game 등 ‘K(S)’ 마크를 장착한 다양한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토탈 브랜드(Total Brand) 형태로 진화했다. 기존의 연구물을 바탕으로 본고는 기존의 한류관련 연 구에 방법론적 차별화를 통해 對 중남미 한류 현상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고는 중남미지역의 한류는 기존의 한류 발전 단계에 부합 하는가? 에 대한 연구 질문을 던지며,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워드 클라 우드(Word Cloud) 기법을 이용한 K-콘텐츠 관련 빅데이터 분석을 한 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빈도분석에 따르면 중남미 한류 태동기인 2010년 K-pop이 주요 ‘동력’이었으며 10년이 지난 현재도 K-pop의 비 중이 여전히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중남미지역은 한류 태동 기의 양상에서 크게 성장 및 확대되었다고 보기에는 다소 미흡하다. 즉 중남미지역의 한류는 K-contents의 다양화이기 보다는 K-pop과 관련된 음악 장르의 확산과 고착화의 양상으로 볼 수 있다.

The Korean Wave, which has expanded from the ‘mainstream’ in East Asia to the global dimension, is divided into stages of development according to period, region,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which divided the development stages of Hallyu into four phases (including the New Hallyu), non-Asian regions, including Latin America, which is the target region of this study are all belong to the second phase of the Korean Wave after the late 2000s. The period after 2020,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the New Hallyu(K-culture), the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is marked with the 'K(S)' mark such as K-drama,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ontent of the 1st period of the Korean Wave, K-pop, K-movie, K-food, and K-game. It has evolved into a total brand with a variety of contents. In this vei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Korean Wave phenomenon in Latin America through methodological differentiation in existing Hallyu-related studies. Particularly, this paper is about whether the Korean Wave in Latin America conforms to the existing development stage of the Korean Wave? To acquire the answer to this inquiry, this analyzes big data-related to K-contents employing the word cloud technique using the R program.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K-pop in 2010,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ve in Latin America, was the main 'power', and 10 years later, K-pop still has a large proportion. Therefore, it is somewhat insufficient to see that Latin America has grown and expanded significantly from the early stage of the Korean Wave. In other words, the Korean Wave in Latin America can be seen as the spread and fixation of music genres-related to K-pop rather than the diversification of K-contents.

목차
논문요약
I. 들어가며
II. 중남미 한류 중심의 선행연구
III. 연구 설계와 방법
    1. 연구 자료 수집 및 설계
IV. 연구 결과
    1. 언어별 및 시기별 빈도 분석
V.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
  • 이태혁(부산외국어대학교) | Taeheok Lee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