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mpact of Smartphone Dependence on Self-esteem among Young Peopl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troph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6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본 논문은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응답자인 중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자료분석방 법은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Sobel-test)을 수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기술통계의 평균값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자아존중감 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인 스마트폰 의존, 사회적 위축, 자아존중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면서 사회적 위축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청소년 의 스마트폰 사용의 순기능을 촉진시키고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을 해소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 과 정책을 제안했다.

This paper studied how smartphone dependence influences self-esteem among young peopl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trophy. As research subjects, som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selected.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on major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the average value of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the social atrophy among them was lower than their smartphone dependence and self-esteem.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parameters, and dependent variables.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atrophy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as smartphones affected their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practice programs and policies that could promote the positive functions of smartphones and relieve social atrophy of young people.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사회적 위축
    2.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
    3.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자아존중감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 대상
    3. 주요 변수
    4.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매개효과 분석
    4. 가설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범기(한독교육복지연구원 책임연구원) | Park Bum-ki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German Education and Welfare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
  • 이송희(용인시 수지구청 6급 팀장) | Lee Song-hee (Team Leader at the Suji District Office)
  • 이순덕(꿈터지역아동센터 센터장) | Lee Soon-deok (Center Chief at the Dreamland Children's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