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한국판 의미있는 활동 참여 척도(Korea-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 K-EMAS)의 타당성 KCI 등재

Validation of Validity for Korea-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K-EMAS) Develop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8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라쉬 분석을 통해 장애 아동 부모의 한국판 의미있는 활동 참여 척도(Korea-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 K-EMAS)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활동에 대한 주관적 가치와 의미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84명을 대상으로 K-EMAS 평가를 시행하였다. 이후, 라쉬 분석을 통하여 대상자 와 항목의 적합도, 평정척도, 항목 난이도, 분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84명의 대상자 중 설문이 끝까지 이루어지지 않거나 표기한 내용이 정확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한 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서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난 9명의 결과를 제외하였으며, 이후 71부의 결과를 통해 항목 적합도의 분 석을 실시하여 12개 항목이 적합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목 난이도 분석에서는 ‘창의성’ 항목이 가장 높은 난이도 로, ‘자신 돌보기’가 가장 낮은 난이도 항목으로 나타났다. 평정척도 분석 결과 5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 상자 분리지수 4.98, 분리 신뢰도 0.96, 항목 분리 지수 2.02, 분리 신뢰도 0.80 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활동 참여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문항 난이도를 조절하여 수정된 평가도구로 전국지역의 다양한 연령, 진단군의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K-EMAS was verified through Rasch analysis, and the subjective value and meaning of parent’s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ystematically evalusted and presented as basic data.
Methods : K-EMAS was conducted on 84 parents raising disabled children. Thereafter, the suitability of subject and item, rating scale, item diffifulty, separation reliability were analyzed through rasch analysis.
Results : Of the 84 subjects, 80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9 nonconforming subject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then the results of 71 sere used to anlyzed the suitability of the items, and 12 items were situable. In addition “creativity” was the most difficult and “self-care” was the least difficult.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cale showed that the five-point sclae was suitable, with a separation index of 4.98, a separation reliability of 0.96, a separation index of 2.02, and a separation reliability of 0.80.
Conclusions : This study verified the validity of evaluation tool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objectively judge thei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t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parents of children of various ages and diagnostic groups nationwide using the evaluation tool to adjust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item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3. 연구 도구
    4.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적합도 판정
    2. 항목 난이도
    3. 분리신뢰도
    4. 평정척도 분석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오세리(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Oh Se-L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Kangwon University, Master)
  • 이나래(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 Lee Na-r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Kangwon University, Ph.D. Course, Student) Corresponding author
  • 장종식(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Jang Jong-Si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ngwon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