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춘천분지를 중심으로 북한강과 소양강 일원의 미사리유형 취락의 단계별 변천양상과 이들의 입지 변화 원인을 검토하였다. 북한강유역에서 돌대문토기는 3단계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약 3,100 BP를 기점으로 등장과 발전, 쇠퇴의 시간적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입 지에서도 확인된다. 북한강 유역 미사리유형 취락의 1단계에는 천전리 일원과 중도동 남서쪽에 미사리유형 주거가 처 음으로 조성되는데, 중(대)형의 장방형 주거지와 소형 방형 주거지 등이 분산되어 분포하는 등 소규모 취락의 형태로 나타난다. 2단계에는 1단계에 축조된 세대공동체의 공동주거형인 중(대)형의 장방형 주거지와 소형 방형 주거지의 축조 숫자가 증가한다. 중도유적에서는 B1구역과 D1구역에 먼저 주거 군이 형성되고, 점차적으로 동쪽(E1) 구역과 북쪽(D2ㆍ3구역)으로 확장되며, 기타 취락 등지에서도 주거군의 밀집도가 넓게 분포하는 등, 여러 지역으로의 대규모 취락 형태로 조성된다. 3단계에 들어 서면 취락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중도지역에서는 남서쪽 일부지역으로 주거가 축조되고, 인접한 금산 리ㆍ현암리나 근화동 지역으로 취락의 축조가 옮겨가는 현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돌대문토기 단계의 변화는 입지와 같이 하는데, 이의 구체적 원인은 기후 변화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즉 청동기시대 들어서 지역적 기후 변화가 진행되면서 춘천분지의 지형경관도 바뀌게 되었 고, 이는 취락의 입지 변화와 같이 나타나게 되었다. 춘천분지라는 평탄한 대지에 축조된 미사리유형 취락은 처음 등장한 1단계에는 하천의 접근에 용이한 지역, 특히 북한강과 소양강의 평형천 부근에 인 접하여 주로 입지한다. 이후 기온 상승에 따른 하천유량의 증가로 인해 하천의 접근에 용이한 다양한 지형으로 입지의 변화를 보이고, 3단계에 들어서면서 하강하는 기온으로 인해 미사리유형 취락은 북한 강과 소양강의 평형천 근처 지형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지만, 북한강 중상류지역의 좀 더 안정된 지형 에 집중한다. 3단계 미사리유형 취락의 입지는 1단계의 지형입지로 경관과 유사해지면서 취락 또한 원 장소를 점유하려 하지만, 이 시기에는 북한강 유역으로 역삼동유형 취락이 등장하게 되면서 우두동과 천전리 일원의 단구지형과 중도동의 하중도 지형은 더이상 접근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후 춘천 분지 지역은 청동기시대 전기와 중기의 취락지로 새롭게 입지적 개편이 진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changes of the settlements in the Misari Assemblage in Bukhan River and Soyang River, focusing on the Chuncheon basin, and investigated the reasons for the changes in such locations. In Bukhan River basin, the Doldae Mun pottery show three stages of change. Approximately 3,100 BP as the starting point, temporal changes are shown from appearance, development, and decline. These changes can also be found from the locations. In Stage 1 of the settlements of the Misari Assemblage in Bukhan River basin, the Misari Assemblage residential area is created for the first time in Cheoncheon-ri area and the southwestern part of Jungdo-dong. This area takes the form of a small-scale settlement with mid- to large-sized rectangular residential sites and small-sized square residential sites. In Stage 2, the numbers of midto large-sized rectangular residential sites and the small-sized square residential sites, which are the common house types of the intergenerational communities, increase. In Jungdo site, residential areas are first created in areas B1 and D1. Afterwards, residential areas gradually spread to the eastern part (E1) and northern parts (D2 and 3). Ultimately, with more residential areas in other settlement areas, it is possible to identify large-scale settlement types. In Stage 3, the scale of the settlements decreases. In Jungdo area, residential areas are created in some parts in the northwest, and the residential areas move to nearby Geumsan-ri, Hyeonam-ri, or Geunhwa-dong areas. The changes in the Doldae Mun pottery follow the changes in residential sites. This is closely related to climate change. That is, with climate change occurring in certain areas starting from the Bronze Age, the landscape of the Chuncheon basin changed as well, which led to the changes in the locations of settlements. The settlements of the Misari Assemblage that was constructed on the Chuncheon basin, a flat land, was mostly focused in the stream areas of Bukhan River and Soyang River, which were the areas that have easy access to rivers. Then, when the river started to flow with rising temperatures, the locations became more diverse as there were more areas where the river could be accessed. In Stage 3, with the falling temperatures, settlements of the Misari Assemblage return to the streams of Bukhan River and Soyang River. However, they are more focused around the stable grounds located in the mid to upper streams of Bukhan River. The location of settlements of the Misari Assemblage in Stage 3 changes in landscape to the locations of Stage 1. The settlements also tend to go back to their original locations. However, the Yeoksam-dong Assemblage appears at Bukhan River basi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terrace terrains of Udu-dong and Cheonjeon-ri and the river island areas of Jungdo-dong were no longer accessible. Later, the Chuncheon basin changes to become the settlement area during the early and mid Bronze Age peri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