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가 포착한 일본의 일상 지식― 『해행총재(海行摠載)』의 문견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Japanese Everyday knowledge captured by the Joseon Tongsinsa (朝鮮通信使) - Focusing on Mungyunrok(聞見錄) of 『Haehaenchonggjae(海行摠載)』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650
  • DOIhttps://doi.org/10.35203/EACT.2022.13.2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6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이 글은 해행총재(海行摠載)에 수록된 문견록(聞見錄)을 중심으로 조선통 신사가 포착한 일본의 일상 지식을 확인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그에 따라 조선시대에 일본을 방문한 이들의 다양한 기록들이 담겨있는 해행총재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했으며, 그중에서도 일본의 일상 지식이 자세히 담겨있는 문견록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일상 지식의 개념 정리를 필두로 조선통신사가 포 착한 일상 지식의 갈래를 구분하였다. 이어서 3장에서는 해행총재(海行摠 載) 문견록(聞見錄)에 나타난 일본의 일상 지식을 몇 가지 주제로 구획하였 다. 첫 번째는 ‘일본, 비일상에서 일상적 지리 공간으로의 전향’이라는 주제 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인간의 거주지 확대는 지식의 확대로 직결되었으 며, 다양한 형태의 탐험적 행위는 공간적 지식의 범위를 확대시켜왔다고 판 단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일본의 일상적 지리 지식 수집 과정을 도식화 함으로써 다양한 층위의 지식 수집 양상을 밝혔다. 두 번째로는 ‘일상과 만 남 그리고 일본의 일상 문화 포착’이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여기 에서는 조선통신사가 일본의 일상과 문화를 어떻게 기록하였는지 살폈다. 이는 일상 지식의 연구 범주 가운데서도 ‘일상과 사건’을 확인할 수 있는 자 료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세계 : 우리 세계, 그들 세계’라는 영역까지 도 파악할 수 있는 연구 대상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세 번째로는 ‘일상생활에 관한 인식론적 탐색과 인류학적 접근’이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 행하였다. 인식론, 즉 일본을 긍정적으로 보았는가 부정적으로 보았는가를 주로 다룬 선행 연구와 달리 인류학적인 시선에서 통신사행록을 다시 분석 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해행총재(海行摠載)에 수록된 문견록(聞見錄)을 다 루면서도 일본을 ‘일상’ 그리고 ‘지식’, 나아가 ‘일상 지식’으로 읽어내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해행총재에 수록된 개별 사행록에 대해 서는 대략적으로 일정 부분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문견록만 추출하여 ‘일상 지식’을 살핀 연구가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울러 기존 선행 연구의 답습에서 벗어나 통신사행록 텍스트에 담긴 다양한 지식을 지리학, 문화사, 그리고 인류학 측면에서 들여다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고 하겠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confirm Japan's daily knowledge captured by the Joseon Tongsinsa, focusing on the Mungyunrok included in the Haehaenchonggjae. Accordingly, the discussion was aimed at focusing on the various records of those who visited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among them, the main research subject was the Mungyunrok, which contains various daily lives of Japan. To summarize the matters discussed so far, Chapter 2 distinguishes the branches of daily knowledge captured by Joseon Tongsinsa, starting with the concept of daily knowledge. Subsequently, in Chapter 3, Japanese daily knowledge in Haehaenchonggjae Mungyunrok was divided into several topics. First,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 of "Japan, the conversion from non-daily to everyday geographical space" because it was judged that the expansion of human residence was directly linked to the expansion of knowledge, and various forms of exploratory behavior have expanded the scope of spatial knowledge. As a result, by schematizing Japan's daily geographic knowledge collection process, knowledge collection patterns at various levels were revealed. Second, the discussion was held under the theme of "Meeting Daily Life and Capturing Japanese Daily Culture" where we looked at how the Chosun News Agency recorded Japanese daily life and cultur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not only a data that can confirm 'daily life and events' among the research categories of everyday knowledge, but also a research subject that can grasp the area of 'the world of daily life: our world, their world'.Third,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 of Epistemological Exploration and Anthropological Approach to Daily Life.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mainly dealt with epistemology, that is, whether Japan was viewed positively or negatively, we tried to analyze the Joseon Tongsinsa from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gain. In conclusion,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ad Japan as 'daily life', 'knowledge', and even 'daily knowledge' while dealing with the Haehaenchonggjae contained in the Mungyunrok. This stems from the sense of problem that there is no research on 'daily knowledge' by extracting only Moon Gyeon-rok, although som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individual gambling records previously included in Haehaenchonggja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look into various knowledge contained in the text of the correspondence anthology in terms of geography, cultural history, and anthropology, away from the previous studies.

목차
논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일상 지식의 개념과 범주 및 『해행총재』소재 문견록 개관
Ⅲ. 『해행총재』 문견록에 나타난 일본의 일상 지식
    1. 일본, 비일상에서 일상적 지리 공간으로의 전향
    2. 일상과 만남 그리고 일본의 일상 문화 포착
    3. 일상생활에 관한 인식론적 탐색과 인류학적 접근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묘정(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조교수) | Kim, Myo-Jung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Danko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