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별에 따른 혈액 지표 및 스트레스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Blood Indicators and Stress on Obesity by Gender in Korean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9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KNHANES Ⅵ-3)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비만 관련 위험요인들을 확인 하고자 생리적 건강지표인 혈액검사와 스트레스를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전체 인구 중 성인(19세 이상) 이며 정상 체중과 비만에 해당하는 3,34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BMI 지수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01), 특히 비만 그룹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의 경우 스트 레스가 남성에 비해 높아 성별의 차이를 보였으며(p<.001), 생리학적 지표인 혈액검사에서 여성은 혈소판(PLT) 수치 가 높고(p<.001) 남성의 경우 백혈구(WBC) 수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성별에 따른 비만의 관련 요 인으로는 체형에 대한 주관적 판단(95% CI=0.026~0.045, p<.001), 스트레스(95% CI=0.487~0.925, p=.015), 백혈구 (95% CI=1.232~1.392, p<.001)가 여성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주관적 체형 인식 및 스트레스와 객관적 생리학적 지표가 체질량지수의 주요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추후 비만 예방 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factors (figure recognition and stress) and objective factors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on body mass index by gender difference in Korean adults. This study analyzed 3,343 subjects older than 20 years according to gender using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base. Specifically, male subjects had higher body mass index than female subjects (p < .001) and were more frequent in the obese group.. Female subjects had higher stress and platelet score than male subjects (p < .001). Male subjects had significantly higher white blood cell counts (p < .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obesity by gender difference was high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figure recognition (95% CI = 0.026~0.045, p < .001), stress (95% CI = 0.487~0.925, p = .015) and white blood count (95% CI = 1.232~1.392, p < .001) in femal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a gender-specific difference in recognizing subjective factors and especially the objective factors of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affecting obesity.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obesity education or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a nursing arrangement program for Korean adult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측정방법
    2.4. 자료분석
    2.5. 연구윤리
3. 연구 결과
    3.1. 성별에 따른 일반적 특성
    3.2.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및 혈액지표
    3.3. 성별에 따른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REFERENCES
저자
  • 이경희(동서대학교 치위생학과 교수) | Kyung Hee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