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외국인직접투자가 중국 제조업 고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중국 내 5개 지역별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mpact of Inward FDI on the Upgrading of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A Panel Data Analysis of 5 Different Provinces in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최근 글로벌 정치․경제 환경의 대전환으로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재산업화 전략’으로 제조업 회복을 추진하고 있고, 중국도 ‘중국제조 2025’를 통해 제조업의 질적 발전과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외국인직접투자(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FDI)가 중국 제조업 고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 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제조업 가운데 첨단기술 산업의 비중을 중국 제조업 고도화의 지표로 이용하여 2004년부터 2020년까지의 17개년도 중국 31개 성(省)별 패널데이터로 고정효과 모형과 FGLS 모형 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전체와 중국의 동부, 중부, 동북 지역, 장강경제벨트는 IFDI가 중국 제조업 고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부지역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IFDI가 중국 제조업 고도화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존재 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중국 정부의 IFDI를 통한 지역 균형 발전정책이 중부와 동북 지역에 대 해서는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던 반면 중국 서부지역에 대해서는 IFDI를 통한 첨단기술 산업 고도화의 정 책 목표와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통제변수로 활용된 변수인 수출과 수입으로 측정된 개 방정도와 첨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는 제조업 고도화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일관되게 나 타나고 있다.

With the recent major shift in the global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are promoting the recovery of manufacturing with a “re-industrialization strategy” and China is also focusing on qualitative development and upgrading of manufacturing through “China Manufacturing 2025”.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IFDI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advancement of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and the FGLS model with the panel data of 31 provinces in China for 17 years, from 2004 to 2020, using the share of the high-tech secto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an indicator of the advancement of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FDI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dvancement of Chinese manufacturing in China as a whole and in the eastern, central, northeast regions of China, and the Yangtze River Economic Belt. However,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the western region.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proven that the effect of IFDI's impact on China's manufacturing upgrade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hinese government'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hrough IFDI was effective for the central and northeast regions, whil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olicy goals and strategies for the advancement of high-tech industries through IFDI for western China.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openness measured by exports and imports used as control variables and R&D investment in advanced technologies are consistently shown to have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advanceme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중국 제조업 고도화
    2.1 이론적 배경
    2.2 제조업 고도화의 정의
    2.3 중국의 제조업 고도화에 관한 정책과 중국 지역균형발전 전략
Ⅲ. 실증분석 모형 및 자료
    3.1 분석 모형 및 변수 설명
    3.2 자료 수집 및 지역 구분
Ⅳ. 실증분석 및 결과
    4.1 기술통계량 분석
    4.2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공선성 검증
    4.3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Abstract
저자
  • 호우옌페이(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박사수료) | Yanfei Hou
  • 정무섭(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부교수) | Moosup J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