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판소리와 무속의 사유체계와 미학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Mind System and Aesthetics of Pansori and shaman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이 글은 판소리에 녹여있는 무속적 요소들이 무엇인지 살 펴보고, 그러한 요소들이 무속의 어떠한 사유체계에서 비롯 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판소리 창자의 태생적 기반이 무부(巫夫)에서 비롯되었다 는 것을 인식할 때 필연적으로 판소리는 무속의 인자가 내포 되어있으며 그러한 사유체계는 판소리의 전통미학적 패러다 임을 변화 시켰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영향으로 판소리의 계 면조는 굿 음악인 시나위의 음구성과 선율형이 상당히 흡사 하다. 판소리의 음구성과 장단, 성음과 목구성 등은 육자배기 토리의 시나위권 음악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판소리의 사설의 많은 부분이 병렬적으로 되풀이하는 담화 방식인 것은 서사무가의 담화적 구술 방식이며 굿의 연행 체 계와 유사하다. 즉 무당이 굿을 주재할 때 여러 연희적 맥락 들과 판소리의 연행적 맥락이 흡사하게 나타난다. 엄격한 성리학의 영향 하에서 형성된 전통미학은 판소리에서 도 아정함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무속적인 요소가 가미되면 서 아정함을 추구하던 판소리는 무속적인 요소인 무절제와 격동성, 이탈적인 엇지름, 임기응변적인 언어구사 등 무속적 사유체계를 수용하면서 판소리의 미학적 패러다림을 변화 시 켰다고 볼 수 있다.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은 복합적으로 무절제 속에서 절제, 규범 속에서 일탈, 규격 내지 정형 속에서 무정형과 임기응 변을 지향하는 속성 등은 무속적 사유체계로 판소리의 미학 적 성격을 형성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미신이라 폄하하고 외면하여 온 무속의 속성은 추후 한국 의 미학을 형성하는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 확신한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shamanic elements are dissolved in pansori, and to examine what kind of shamanic thought system these elements originate from. Recognizing that pansori's gut originated from Mubu (巫夫), inevitably, pansori contains elements of shamanism, and it can be seen that such a system of thought has changed the traditional aesthetic paradigm of pansori. Due to this influence, the Gyemyeonjo of Pansori is very similar to that of Sinawi, a good music, in melodic form. Pansori's pitch and rhythm, vocal tones and vocals are similar to those of Yukjabaegitori's Sinawi music. Many of the editorials of Pansori are a discourse method that repeats in parallel, which is the discourse oral method of the samurais and is similar to the performance system of Gut. In other words, when the shaman presides over the gut, various performance contexts and the performance context of pansori appear similar. Traditional aesthetic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strict Neo-Confucianism pursued calmness in Pansori as well. However, it can be said that Pansori, which pursued calmness with the addition of shamanic elements, changed the aesthetic paradigm of Pansori by accommodating the shamanic thought system such as intemperance and turbulence, breakaway differences, and improvised language. have. It can be sai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are complex and have a great influence on form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as a shamanistic thought system, such as temperance in restraint, deviation in norm, and amorphousness and improvisation in standard or formality. . I am sure that the attributes of shamanism, which have been disparaged and ignored as superstitions, will play a meaningful role in shaping Korean aesthetics in the futur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판소리 창자 집단의 구조
Ⅲ. 판소리와 무속연희의 비교
    1. 판소리와 무속 음악
    2. 판소리와 무속 연행
Ⅳ. 판소리와 무속의 사유체계와 미학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명진(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 Cho Myungjin (Dongbang Culture Graduate University Doctoral course)
  • 조성제(무천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 | Cho Sungje (Senior Researcher, Mucheon Culture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