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열반 적정과 엘리엇의 『네 사중주』 KCI 등재

Nirvana Samatha and T. S. Eliot’s Four Quarte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9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T.S.엘리엇연구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한국T.S.엘리엇학회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초록

『네 사중주』는 시간을 주제로하여 인간의 보편적 삶이 일체개고임을 피력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 날 방편을 시 속에 담고 있다. 내용은 개 인의 감성과 지성 그리고 기독교, 불교, 힌두교의 사상을 혼용하여 다양 한 함축적이고 모순적인 의미를 지닌 문구와 문장으로 표현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최초의 세계”, “장미정원”, “한겨울의 봄”, “영도의 여 름”, “정중동의 흰빛” 같은 문구와 “회전하는 세계의 정점에. 육도 비육 도 아닌 / 그곳으로부터도 아니고 그곳을 향하여서도 아닌, 정점 거기에 무도가 있다. / 정지도 운동도 아니다. 고정이라고 불러선 안 된다. / 과 거와 미래가 합치는 점이다.”와 같은 문장이 되겠다. 모순적이면서도 함 축적인 표현은 난해하여 독자의 이해 수준에 따라서 의미의 해석이 달 라질 수 있다. 필자는 불교의 열반 적정을 표제로 하였고 시간(현상세 계), 영원, 구원(구속)으로 세분화하여 표현된 문구와 문장을 예로 들면 서 탐색하였다. 엘리엇은 기독교 시인으로서 인류 구원의 상징으로 삼 위일체 하느님을 마음에 담고 시속에 다양한 모순적 어법으로 나타내고 있다. 실재의 상징인 하느님은 인간이 시련에 있을 때 모색하는 원형이 된다. 모색하는 방법으로는 참회와 기도 그리고 비움, 겸손, 사랑 실천 등이 되겠다. 불교의 열반 적정도 이와 비슷하지만, 모색하는 방법이 내 적 탐구라는 점에서 같으면서도 다른 듯하다. 하지만 궁극에는 겸손히 모든 것을 비우고 사랑과 자비의 마음이 될 때 신의 은총과 인간의 의 지가 합쳐져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라는 시의 마지막 부분의 교시는 동 서양을 아우르는 시적 표현이라 할 것이다.

Four Quartets expresses suffering as the universal condition of human beings and seeks a way to escape from it through the theme of time. By mixing individual sensibility and intelligence with thoughts of Christianity, Buddhism, and Hinduism, the poem atriculates the themes in phrases and sentences with various connotative and contradictory meanings. Typical examples include phrases such as “The first world”, “Rose garden”, “Midwinter spring”, “Zero summer”, “A white light still and moving”, and a sentence “At the still point of the turning world. Neither flesh nor fleshless; / Neither from nor towards; at the still point, there the dance is, / But neither arrest nor movement.” These connotative and contradictory meanings would be hard to understand by common readers. Foregrounding Nirvana Samatha in Buddhism as a main subject of Four Quartet,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sub-themes such as time(world of phenomenon), eternity, and salvation(redeption). As a Christian poet, Eliot presents Christ/God as the redeemer of humanity in diverse and, even, contradictory ways in the poem. The Lord becomes the end point toward which sufferings human being strive to save themselves, and the archytype of human redemption. Ways to go toward the Lord include repentance, prayer, emptying, humility, and practicing love. Buddhism’s nirvana is much similar to this, but seems a little different from Christianity in the method of seeking. Nirvana is based on internal inquiry. But Both of them are ultimately equal in that they are based on salvation for the eternal happiness of mankind. The ending of the poem, where a fire and a rose become one, visually signifies that humanity can be redeemed by empting herself and loving each other genuinely, and exemplies a poetic expression that unites the religious redemption of the East and the West.

목차
Abstract
Ⅰ. 들어가며
Ⅱ. 시간(현상세계)
Ⅲ. 영원
Ⅳ. 구원(구속)
Ⅴ. 나가며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박성칠(안동대학교) | PARK, Seong-Chil (Andong National Universit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