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유아 어머니들의 육아 일상에서 운동이 주는 의미: 구성주의 근거이론 접근 KCI 등재

The Meaning of Exercise in The Daily Life of Mothers of Early Children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1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어머니들의 육아 일상에서 운동이 주는 의미를 구성주의 근거이론(Constructing Grounded Theory) 접근 방법으로 탐색해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활용하여 서울과 청 주지역의 만 0세∼6세의 자녀를 둔 영유아 어머니 중 규칙적인 운동을 6개월 이상 실천하고 있는 인원을 선별하 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관계망을 통해 연쇄적으로 표본의 수가 증가하는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현상이 나타났다. 총 127명의 설문 응답 자료 중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11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 료 분석은 Charmaz(2006)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의 절차에 따라 코딩 과정에서 추출한 각 범주를 기반으로 영유아 어머니들이 갖는 운동의 의미를 도식화하여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영유아 어머니들의 ‘운동 시작 계기’ 도식은 자기 돌봄의 상위범주가 신체적, 심리적 돌봄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어 나타난 구조를 확인하였다. 둘째, 어 머니들의 ‘운동 지속’ 요인들의 도식화 결과, 운동환경구축, 개인적 차원, 운동의 이득으로 모아진 각 범주가 서 로 순차적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운동의 의미’를 도식화한 결과, 운동은 영유아 어머니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자기(self)’를 돌볼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이는 아이들에게도 긍 정적인 영향을 미쳐 다시 정신건강 증진과 자기 돌봄 행동의 강화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선순환적 구조를 확인 하였다. 또한, 운동은 ‘자기’와 ‘육아’ 사이에서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중심이자, 삶의 원동력이 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종합적으로 운동은 육아의 일상에서 돌봄 노동에 지속해서 노출된 영유아 어머니들의 신체적, 정신 적 건강증진을 도모할 뿐 아니라 삶의 균형을 찾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 는 주 양육자(어머니를 포함한)가 자기 돌봄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적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운동을 비롯한 자기 돌봄 행위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도록 지역사회와 정책적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강조한다. 나아가 육아와 돌봄의 영역이 ‘여성’ 고유의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다소 편향적인 성 역할에 대하 여 사회문화적인 인식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촉구하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xercise in the daily life of mothers of early children through a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pproach. Methods: The participants using purposeful sampling method to select mothers of children aged 0-6 in Seoul and Cheongju who practiced regular exercise for more than 6 months. In this process, the snowball sampling effect was shown, in which the number of samples increased in a chain through the network of participants. The final 115 data were collected, excluding insincere data out of a total of 127 questionnaire responses. Data analysis diagrammed the meaning of exercise of mothers based on each category extracted from the co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method of Charmaz(2006). Results: First, the ‘exercise start trigger’ diagram of mothers of early children confirm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category of self-care was divided into sub-categorie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are. Second, as a result of diagramming of mother’s ‘exercise continuation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each category collected by exercise environment construction, personal dimension, and exercise benefit had a sequenti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ird, as a result of diagramming ‘the meaning of exercise’, it is acts as a means of taking care of ‘self’ by help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as well. A positive virtuous cycle structure was identified that leads to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reinforcement of self-care behavior. Also, exercise was found to be the center of balance of life between ‘self’ and ‘parenting’ and the driving force of life. Conclusion: In summary, exercis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aily life of parenting to improve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mothers who are constantly exposed to childcare, but also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finding a balance in their liv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an environment in which the main caregivers (including mothers) can take care of themselves, and that active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policy is necessary to maintain self-care behaviors including exercise. Furthermore, it is a meaningful result that urges the need for a change in socio-cultural awareness of the somewhat biased gender role, which is recognized as the domain of only 'women' in the areas parenting and caring.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자의 배경
    3. 윤리적 고려
    4. 자료수집
    5. 자료 분석
    6. 자료의 타당성
    7. 근거이론의 평가
Ⅲ. 결과 및 논의
    1. 운동 시작 계기
    2. 운동 지속 요인
    3. 운동의 의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이슬(국민대학교 강사) | Seul Lee (Kookm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