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제 사비시대 소상(塑像)과 대중교류(對中交流) -3인상의 복식(服飾)과 자세(姿勢) 및 보살상의 두발(頭髮) 표현을 중심으로- KCI 등재

Clay Statues of Baekje Sabi Period and Baekje's Exchange with China -Focusing on the Costume and Posture of a Three-person Statue and the Expression of the Head of the Two Bodhisattva Statu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1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본 논문은 백제 사비시대 부여와 익산의 왕실사찰인 정림사지, 제석사지, 그리고 미륵사 지에서 출토된 3점의 塑像에 대한 분석을 통해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백제 미술의 對中交 流 양상을 고찰했다. 구체적으로는 3인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세속 인물상의 자세 및 의복, 그리고 두 보살상의 두발 표현 등을 중국 남북조시대 및 隋唐代 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3인상의 경우, 남북조의 출행도 및 예불도와 유사성이 지적된 바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 연구가 남북조시대 출행도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차이를 간과했음에 주목했다. 3 인의 자세, 인물 구성, 侍者의 성별과 역할, 그리고 폐슬과 소매가 넓은 포복의 형태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실마리로 백제 3인상이 북조가 아닌 남조 문화와 더욱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무왕이 건립했다고 전하는 제석사지와 미륵사지에서 발견된 두 점의 보살상 頭部에는 連 弧形 髮際線이 출현한다. 연호형 발제선은 중국에서는 이미 4~5세기부터 출현했지만, 중국 전역으로 보급된 것은 대략 6세기 말부터이며, 그 연원은 장안양식과 관련이 있다. 연호형 발 제선은 삼국에서는 7세기에 비로소 등장하며, 이후 통일기 신라에서 유행한다. 그러므로 백제의 두 사찰 출토 소상에서 출현하는 연호형 발제선은 6세기 말부터 백제가 행한 적극적인 수 당 교류의 결과이자, 백제 미술에 미친 수당대 장안양식의 한 사례로서 주목할 만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exchange between Baekje and China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through an analysis of three statues excavated from Jeongnimsa(定林寺) Temple, Jeseoksa(帝釋寺) Temple, and Mireuksa(彌勒寺) Temple, the royal temples of Buyeo and Iksan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Specifically, the poses and clothes of a three-person statue, and the hair expression of the two bodhisattva statu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data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and the Sui-Tang period in China. In the case of a three-person statue,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the similarities with iconography depicting procession and worship scene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But in this study, I first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previous studies had overlooked regional differences in procession and worship scene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First of all, I investiga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osture of the three people, the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the gender and role of the person serving, and the shape of the Bixie(蔽膝) and wide-sleeved top. With these clues, I confirmed that a three-person statue of Baekje wa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e of the Southern Dynasties than the Northern Dynasties. Two Bodhisattva statues found at the site of Jeseoksa Temple and Mireuksa Temple, which are said to have been built by King Mu, have curved hairlines. Although this form already appeared in China from the 4th and 5th centuries, it was spread throughout China from the end of the 6th century, and its origin is related to the Chang'an style. The curved hairline first appeared in the 7th century in the Three Kingdoms of Korea, and later became popular in the unified Silla. Therefore, the curved hairline appearing in the two Bodhisattva statues excavated from two temples of Baekje built in the early 7th century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active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the Sui and Tang dynasties from the end of the 6th centur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3인상의 복식과 자세
Ⅲ. 보살상의 두발: 連弧形 髮際線과 隋唐 長安樣式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소현숙(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 So, Hyunsook (Research Professor of Wonkw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