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작주제의 모호한 복귀: 멘델스존의 <무언가> KCI 등재

The Ambiguous Return of the Beginning Theme in Mendelssohn’s Songs without Wor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1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7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멘델스존의 <무언가>곡들은 대부분 간결한 형식(3부분이나 순환2부분)에 기초하고 있어 서, 중간의 대조 단락 이후에 시작주제의 복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무언가>의 일부 곡에 서는 시작주제가 조성적으로 불안정하고 모호한 상태에서 재등장한다. 예를 들면, 중간 단락이 III 조성의 딸림화음인 VII♯화음으로 마치고 나면 준비과정 없이 갑자기 시작주제가 으뜸조로 복귀한 다(Op.30, No.5, Op.53, No.4, Op.53, No.6, Op.67, No.6, Op.102, No. 3). 또는 중간단락의 III 조성이 계속 지속되는 가운데, 시작주제의 재현이 III 조성의 I화음 위에서 일어나고, 곧 으뜸조로 이동하기도 한다(Op.67, No.3, Op.85, No.4, Op.85, No.5, Op.102, No.2). 이렇듯이 첫 주제의 재현 시점이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설정됨으로써, B단락과 A′단락 사이에 두 조영역(III와 I)이 겹 쳐지며, 단락간의 형식적 경계가 불분명하게 만들어진다. 본 논문은 멘델스존의 모호한 재현 방식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 곡에서 발견 되는 화성진행과 성부진행, 종지여부와 단락간의 선율적 연결(linkage technique), 전체적인 화성 구조를 다루어 보면서, 시작주제의 재현에 관한 멘델스존의 독특하고 창의적인 해법을 추적해본 다. 이와 관련하여 멘델스존이 중간 단락을 끝맺는 화음으로 설정한 VII♯화음이 다른 작곡가들이 사용한 방식과 어떻게 다른가를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한편, VII♯화음과 I화음 사이에 자주 등장하 는 64화음의 역할에 대해 고찰해본다.

Since the pieces of Mendelssohn’s Songs without words are mostly based on the concise small ternary or rounded binary, the return of the beginning theme after the middle contrasting section is deemed necessary. In some pieces of Songs without words, the initial theme returns in the tonally unstable and ambiguous context. For example, as soon as the middle section ends on VII♯(the V of the III key), the initial theme reappears in the tonic key(Op.30, No.5, Op.53, No.4, Op.53, No.6, Op.67, No.6, Op.102, No.3). Or the key of III of the middle section continues to the point of thematic return. Thus, the actual return takes place on the tonic of the III key, and then moves to the tonic key shortly afterwards(Op.67, No.3, Op.85, No.4, Op.85, No.5, Op.102, No.2). In these cases Mendelssohn’s quite intentional treatment of the obscure return results in the overlap of two tonal areas(III and I), and the obfuscation of the formal division between B and A′ sections.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Mendelssohn’s very unique and creative solution of the thematic return by examining the specific cases in which the ambiguous return occurs, and by analyzing the harmonic progression and voice leading between two sections(B and A′), melodic connection such as linkage technique, and overall tonal structure. Considering the function of the VII♯ chord at the end of B section, I have attempted to address how Mendelssohn’s use of the VII♯ differs from the other composer’s treatment of the VII♯, and to deal with the interpretation of problematic 64 chords which mediate between VII♯ and I.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시작주제의 복귀-실제 사례들
    2.1. 시작주제가 V화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2.2. 시작주제가 I 화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2.3. 시작주제가 III화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3. 시작주제의 모호한 복귀와 전체적인 화성구조
    3.1. 단락과 단락 간의 화성구조
    3.2. 전체적인 진행
4. III조성과 VII♯화음의 기능
    4.1. III조성
    4.2. VII♯화음의 사용법-다른 작곡가들과 멘델스존
    4.3. VII♯화음의 기능
    4.4. 64화음의 기능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저자
  • 한미숙(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 Mi Sook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