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엘즈워스 켈리(Ellsworth Kelly, 1923-2015)의 <창문> 이미지 연구

A Study on Ellsworth Kelly(1923-2015)’s Window Im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1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미술사문화비평학회 (Association of Art History, Culture & Critique)
초록

본 논문은 엘즈워스 켈리(Ellsworth Kelly, 1923-2015)의 창문 이미지에 대한 연구이다. 켈리는 일상의 사물인 창문을 발견하고, 그것의 구조를 그대로 캔버스로 옮기는 전이를 통해 추상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실험했다. 작가는 전이된 창문 이미지 를 기호로 지표화했고 창문의 실제적 이미지를 연상할 수 없을 정도로 구조의 핵심 적 본질에 접근하여 자율성을 갖춘 새로운 이미지로 탄생시켰다. 새롭고 독립적인 것 으로 창문 이미지를 제시하고자 했던 그의 작업 과정은 시뮬라시옹과 유사한 맥락으 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창문 이미지는 순수한 대상인 시뮬라크르로 해석가능하다. 켈리는 창문과 중세 미술의 도상을 결합하였다. 예수의 모습과 결합된 창문의 모 호한 형태는 관람객이 작품의 구체적인 형상과 의미를 단번에 파악할 수 없게 만들 었다. 또한 켈리는 목재와 노끈 등의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리얼리티의 문제를 실 재적 관점으로 확장시켰고 2차원과 3차원의 결합을 시도했다. 한편 오브제적 특성을 갖게 된 켈리의 창문은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비교되기도 하였다. 켈리의 작업은 이미 만들어진 사물인 창문을 선택하고 창문의 기본적인 구조만 드러나게 한 다음 완벽하 게 재창조한 ‘올레디메이드(already-made)’로 차별화된다. 또한 켈리는 우연히 발 견한 사물이었던 창문 그 자체보다 그리드 같은 창문의 구체적인 구조에 흥미를 느 꼈다. 즉 켈리가 사물을 선택하는 행동에서 미적 흥미를 배제할 수 없었다. 켈리의 창문 이미지는 작가에게 새로운 예술 형식을 위한 기호로, 현실 세계로부 터 얻을 수 있는 시각 언어이자 추상으로 향하는 조형적 언어였다. 본 연구는 켈리의 작업 세계에서 창문 이미지가 예술형식의 확장을 가져오는 시작점이라는 것에서 의 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Window images by Ellsworth Kelly(b. 1923 - d. 2015). Kelly experimented with the process of moving the structure of the window to the canvas and then converting it into an abstract version. He created a new work with autonomy by indexing the transferred window image with signs and approaching the core essence of the structure to the point that it is beyond something reminiscent of an actual window image. The window image was interpreted by visitors as an independent sign beyond reality. His work process, which attempted to present window images as new and independent, is similar to Jean Baudrillard’s simulation. Therefore, the window image can be interpreted as simulacre of a pure object. Kelly combined windows with images of medieval art. The ambiguous form of the window combined with the image of Jesus made it impossible for visitors to grasp the specific shape and meaning of the work at once. Kelly also used new materials such as wood and string to expand the problem of reality to a practical point of view and attempted a two and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Meanwhile, Kelly’s window, which had an objecthood was compared to that of Duchamp’s work called readymade. Kelly’s work is differentiated as ‘already-made’. In this process, he selects already made real windows, reveals the basic structure of windows, and then accurately recreates them. In addition, Kelly was more interested in the specific grid like structure of the window than the accidentally discovered window itself. As Kelly’s Window image was a sign of new art form for artist, it was a visual approach from the real world and formative method to approach the abstr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due to the fact that window images are a starting point in Kelly’s career and lead to the expansion of art forms.

목차
Ⅰ. 머리말
Ⅱ. 그리드(Grid): 실재에서 기호로
    1. 현실 이미지의 전이와 지표
    2. 신기하(Neo-Geo) 관점
    3. 탈인간화의 과정
Ⅲ. 입체와 평면의 틈새
    1. 타블로/오브제: 음(negative)과 양(positive)의 공간
    2. 올레디메이드(already-made)와 뒤샹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
  • 천혜인(숙명여자대학교) | Hyein Chun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