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Equ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KCI 등재

청소년의 건강 형평성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2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청소년기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개인의 전반적인 사회·정서적 기능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 시기 건강관련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형평성의 관계 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2020) 자료를 이용하여 39,987명의 청소년을 분 석하였다. 건강형평성은 거주 지역, 학생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여건, 가구의 풍요도, 가족형태, 부모 교육수 준 등을 지표로 사용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평소 자신의 건강이 어떠하다고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 에 건강군("매우 건강하다", "건강하다")과 불 건강군("보통이다", "건강하지 않다", "매우 건강하지 않다")으 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유의한 요인은 거주 지역(OR=0.865, p=.031), 경제 수준(OR=1.338-2.095, p<.001), 가족 형태(OR=1.245, p=.033)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지각한 경제수준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 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건강하 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경제수준이 낮은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지속적 인 관심과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ce reflects one's overall socio-emotional function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equity of adolescents. Data from the 16th online survey of youth health behavior (2020) was used to analyze 39,987 adolescents. Health equity was used as indicator for residential areas, economic conditions perceived by students, household abundance, family type, and parental educa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classified as a healthy group("very healthy", "healthy") and unhealthy group("normal", "unhealthy", and "very unhealthy")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ow do you think your health is usuall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analysis by using SPSS/Win 22.0.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subjects were the area of residence (OR=0.86, p=.031), economic level (OR=1.33-2.09, p<.001), and family type (OR=1.24, p=.033). The economic level perceived by adolescents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related to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ten perceived their health as unhealthy compared to adolescents from general famil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interest in adolescents with low economic levels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목차
Abstract
요 약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s
    2.1. Research design
    2.2. Subjects of study
    2.3. Research Instruments
    2.4. Data analysis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Kyung-Shin Paek(Department of Nursing, Se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