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tudy on the Change of High Order Aberrations by Refractive Errors KCI 등재

굴절이상도에 의한 고위수차 변화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3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굴절이상도에 따른 고위수차와의 상관관계, 근시, 정시, 원시 그룹 간의 고위수차를 비교 분 석하여 시력의 질을 높이기 위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굴절검사와 고위수차 검사는 i-Profilerplus 를 사용하였으며, 고위수차는 제르니케 다항식에서 코마, 트 레포일, 구면, 비점, 콰트레포일수차의 4차 항까지의 제르니케 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코마수차, 구면수차, 콰트레포일수차, 비점수차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게 나타났고, 트레포일수차는 여 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근시, 정시 원시 그룹의 고위수차 중 코마수차는 원시안이 0.069±0.049 μm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트레포일수차는 원시안이 0.084±0.072 μ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면수차는 정시안이 0.025±0.043 μm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점수차는 정시안이 0.028±0.024 μ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콰트 레포일수차는 원시안이 0.031±0.031 μ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등가구면굴절력과 고위수차와의 상관성은 근시 도가 낮고 원시도가 높을수록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결론 : 고위 수차는 근시 그룹에서는 코마수차, 정시와 원시 그룹에서는 트레포일수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ion by comparing the correlation with high order aberrations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and high order aberrations between myopia, emmetropia and hyperopia groups.
Methods : Refractive and high-order aberrations test were measured using i-Profilerplus. High-order aberrations were compared with the Zernike coefficients up to the 4th order of coma, trefoil, spherical, astigmatism, and quadrafoil aberrations in the Zernike polynomial.
Results : The coma, spherical, quatrefoil, and the astigmatism aberrations were higher aberrations in women than men. The trefoil aberration was higher aberrations in men than women. Among the high order aberrations of the myopia, emmetropia and hyperopia groups, the coma aberration was the highest at hyperopia with 0.069±0.049 μm. The trefoil aberration was the highest in hyperopia with 0.084±0.072 μm. The spherical aberration was the highest in emmetropia with 0.025±0.043 μm, astigmatism aberration was the highest in emmetropia with 0.028±0.024 μm, and the quatrefoil aberration was the highest in hyperopia with 0.031±0.031 μ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fractive errors and the high order aberrations showed the lower the myopia and the higher hyperopia the more correlated in the positive direction.
Conclusion : High-order aberrations showed that trefoil aber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emmetropia and hyperopia groups, while coma aber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myopic group.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방법
    3. 통계분석
Ⅲ. 결 과
    1. 등가구면 굴절력과 고위수차
    2. 근시, 정시, 원시 그룹의 고위수차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YunYoung Song(Dep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Professor) | 송윤영 (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 Mi-A Jung(Dep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Professor) | 정미아 (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