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ronze Age Settlement Nucleation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탄소연대와 부트스트랩 리샘플링을 활용하여 북한강 유역 청동기 시대의 취 락 규모 및 분포의 변화, 그리고 인구 재조직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3200-2800bp에는 취 락들이 산발적으로 분포해 있다가 2800-2600bp 시기에는 특정 취락들의 규모가 커짐과 동시에 일 부 중소형 취락들의 규모가 감소하는 현상을 파악하였다. 2600-2400bp 시기에는 춘천 중도 유적이 다른 유적의 규모를 압도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처럼 소수의 취락들이 거대해짐에 따라 중소형의 취락들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소멸하는 현상은 북한강 유역의 대형 취락들의 존재가 단순히 자연적인 인구 증가의 결과물이 아니라 당시 지역 범위 내에서 오랜 시간 누적된 인구의 이합집산의 결과물이 라는 점을 방증한다. 그중에서도 춘천 중도 유적은 2600bp이후 북한강 유역에서 가장 거대한 인구 집결지로서 기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춘천 중도 유적의 공간 점유 양상뿐만 아니라, 유구 및 유물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구역별 점유 기간을 살펴본 결과 취락 규모의 변화와 인구 유입에 조응하여 공간적인 점유 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춘천 중도 유적의 경우 인구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주거 구역의 밀집도가 높아지는 한 편, 새로운 중심지가 형성되면서 취락이 공간적으로 팽창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유물상에서 가구 간 분화가 선명하게 확인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그간 전제해 온 청동기 시대 사회복합화 양상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patio-temporal trajectory of the Bronze Age population reorganization and settlement aggregation phenomenon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using radiocarbon dating and bootstrap resampling method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 that the north Han river basin was a focus of population coalescence, bringing people into larger communities. From 3200 to 2800bp, small and medium-sized villages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region. However, from 2800 to 2600bp certain villages gradually increases in size, while other small and medium-sized villages dwindled or completely extinguished. During the 2600-2400bp period, Jungdo site finally becomes the largest settlement within the north Han River basin. The existence of large settlements in the region can be interpreted not just as a result of natural population growth, but rather as a consequence of accumulated population movement and agglomeration. Furthermore,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intrasite analysis of individual settlement, by analyzing remaining artifacts and pit houses of Jungdo site in Chuncheon which takes up over two-third of the population in the reg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patial occupation pattern of the settlement is related to the changes in population size.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the density of residential areas increases as the population grows, while the village expands spatially as a new center is formed. However, the analysis of artifacts implies that the chances of any specialization or differentiation between households are slim, contradicting the traditional belief that social complexity is naturally intensified in response to the formation of large complex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