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메밀 발아중 식이섬유 함량과 조성의 변화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메밀 식이섬유의 효율적인 활용방안과 종자발아의 특성 연구를 위하여 메밀(신농 1호)을 10℃에서 7일간 발아시켜, 24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불용성, 수용성 및 총식이섬유의 함량과 조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아 전 총식이섬유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24.86%였고, 발아 1일째에 다소 감소하였다가 이후 서서히 증가하여 발아 6, 7일에는 32.22, 36.25%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발아 전 22.95%였고, 발아중 변화경향은 총식이섬유와 유사하였으며 발아 7일에는 31.11%를 나타냈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발아전 1.42%에서 발아 후 서서히 증가하여 발아 7일에는 4.53%였으며, 증가율은 발아 7일째에 219.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총식이섬유에 대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의 조성비는 발아 전 16.2:1에서 점차 감소하여 발아 5일째에는 6.01:1이었으며, 6, 7일에는 6.54:1, 6.87:1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OAC 법과 Prosky 법에 의한 총식이섬유 함량 차이는 0.20∼093%로써 AOAC법이 다소 높았다. 그러나 두 방법간의 평균치 검정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상관관계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r=0.9966, p<0.01)를 보였다. 발아중 식이섬유 구성성분들인 불용성 식이섬유(X_1), 수용성 식이섞유(X_2)와 뿌리신장도(Y)와의 함수관계를 다중회기분석한 결과, 결정계수가 R^2=0.968로 매우 높은 함수관계를 나타내 었다. 회기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 = -12.6681 + 0.5089X_1 + 0.6622X_2( p<0.01)

To provide the efficient application scheme of buckwheat dietary fiber and basic information of seed germination, buck 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was germinated at 10℃ for 7 days an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total dietary fiber(TDF), insoluble dietary fiber(IDF), soluble dietary fiber(SDF) were examined at 24 hour intervals. The TDF content in ungerminated seeds was 24.86% on dry weight basis. It decreased for the 1st day of germination, but gradually increased for 7 days afterwords. The contents of IDF and SDF in ungerminated seeds were 22.05, 1.42% respectively. The IDF and SDF contents decreased in the initial stage of germination, but then gradually increased. The composition of the IDF and SDF in the TDF during the germination period showed different tendencies. The IDF decreased with germination time until 5 days and then increased. The SDF increased until 5 day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The TDF contents obtained by AOAC method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btained by Prosky method. The TDF contents obtained by the two method, however, were very closely correlated (r=0.9966, p<0.01). The IDF(X_1) and SDF(X_2) showed the significant regression equation(p<0.01) with the root length(Y). The equation was Y= -12.6681 + 0.5089X_1 + 0.6022X_2 and R^2 was 0.968

저자
  • 조화은 | Hwa Eun Cho
  • 최윤희 | Yun Hee Choi
  • 박성혜 | Sung Hye Park
  • 박용수 | Yong Soo Park
  • 안병용 | Byung Yong 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