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원도 어촌 음식문화 : 과거, 현재, 미래 -양양, 속초, 고성 지역을 중심으로-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1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강원도 북부 어촌의 특이한 현상은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실향민에 의 한 새로운 음식문화의 형성이다. 음식으로나마 고향을 맛보고 잊지 않으 려고, 고향의 음식을 정착한 현지의 사정에 맞게 만든, “함경도 산, 강원 도 북부 작”이라는 음식문화를 형성한 것이다. 함흥냉면, 오징어순대가 대표적 예이다. 지구온난화와 남획에 의해 어획되는 중심 어종이 줄어들 거나 달라지고 있다. 어촌사람들은 산출되는 어종과 식재료에 과학기술 을 접목해 음식들을 현대화하고 고부가가치의 공산품으로서 식품을 개발 하고 있다. 해양심층수를 활용하고 붉은대게, 연어, 양미리의 다양한 조 리방법 개발이 이를 보여준다. 교통의 발전, 인터넷과 SNS의 확산은 지 역 음식문화의 새로운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찾는 관광객을 위해 전통 음식에 기반하면서도 현대인의 취향에 부응하는 음식들을 개발하고 있 다. 닭강정, 명태강정, 대게고로케, 연어고로케 등이 그것이다. 더없이 발전 한 현대화의 시기에 옛 음식문화를 돌아보고 앞으로 만들어갈 지역의 음식 문화를 생각해 볼 시기이다. 선조들의 음식을 다시 살리고, 여기에 현대의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재창조하는 것이 강원도 북부 어촌사람들이 명심해야 할 과제이다. 더불어 남북으로 나누어진 강원도 음식문화를 ‘하나의 새로운 민족음식문화’로 만들기를 소망할 뿐만 아니라 실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접경지역 어촌사람들이 가져야 할 또 하나의 과제이자 마음가짐이다.

A peculiar phenomenon of fishing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Gangwon-do is the formation of a new food culture by displaced people caused by the war. In order to taste the hometown and not to forget it at least through food, the food culture of “Made in Hamgyeong-do, Produced in the northern part of Gangwon-do” was formed by making the food of the hometown suitable for the local circumstances where they settled. Fishing villagers are modernizing food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nd developing food as a high value-added industrial product by incorporating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utilizing deep sea water.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NS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 new local food culture, and they are developing foods that are based on traditional foods but meet the tastes of modern people. Trying to make the food culture of Gangwon-do, which i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into ‘One New National Food Culture’ is the task and mindset that the people of the fishing villages in the border area should have.

목차
Ⅰ. 서론
Ⅱ. 강원북부 어촌 음식문화의 역사
    1. 해산물
    2. 식해
    3. 홍합과 방풍
    4. 순채
Ⅲ. 강원북부 어촌 음식문화의 변화
    1. 명태
    2. 멸치
    3. 소금
    4. 정어리
    5. 방풍홍합젓
    5. 순채
Ⅳ. 강원북부 어촌 음식문화의 진화
    1. 연어
    2. 닭
    3. 명태
    4. 냉면
    5. 양미리
    6. 붉은대게
    7. 소금
Ⅴ. 결론: 강원북부 어촌 음식문화의 온 길, 갈 길
저자
  • 송주은(경동대학교) | Song Joo Eun (Kyungdong University)
  • 이정실(경동대학교) | Lee Jeong Sill (Kyungd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