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품종별에 따른 쌀밥의 제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원료쌀의 수분함량은 각 품종에 따라 13.22∼14.23%를 나타내었고 조지방 0.35∼0.45%, 조단백질 6.12∼8.67%, 조회분 0.56∼0.63%, 탄수화물 76.60∼79.12%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취반한 밥의 수분함량은 60.5∼64.0%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무균포장밥의 경우 가수량을 1.3배로 한 시료가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마이크로파 가열 및 취반에는 (Table 3)에는 가수량이 1.5배인 시료가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개 품종에 대한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의 경우 일품과 개화의 경우 각각 0.36, 0.37Kg으로, 동진, 추청, 오대가 0.56, 0.52, 0.53Kg으로 나타났다. 취반 직후 품종별 식미의 차이는 일품의 경우 6.167, 계화와 추청이 각각 5.75, 5.583으로 나타났으며 동진의 경우 가장 낮은 4.0으로 평가되었다. 30℃에서 1주일간 저장한 후 실시한 경우 추청과 오대가 각각 5.231, 5.385로 가장 식미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진의 경우 4.769, 계화가 3.769, 그리고 취반 직후에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던 일품이 3.615로 평가되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 various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prepared in Korean rice was developed for extending shelf-life at room temperature. Data of proximate composition showed no siginificant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except moisture of cooked rice. The optimal condition of added water content for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was 1.3 times of rice while 1.5 times for cooked rice and microwave heating. Hardeness of cooked rice was decreased in order of Dongjin, Odae, Chuchung, Kyaehwa, Ilpoom.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Ilpoom had a best result while Odae for storage time(7 days).

저자
  • 김동수 | Dong Soo Kim
  • 조미라 | Mi Ra Cho
  • 안홍 | Hong Ahn
  • 김현대 | Hyun Da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