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뇨중 3-methylhistidine을 분석하였다. 뇨중 3-methylhistidine을 fluorescamine 유도체화하여 HPLC에 주입하고 C_18 column과 10 mM acetonitrile/sodium phosphate buffer(pH 7.5)로 분리·용출시켜 형광검출기로 측정하였다. 3-methylhistidine의 체류시간은 7분 이내이었으며, histidine과의 분리상태도 서로 간섭함이 없이 양호하였다. 뇨에 3-methylhistidine을 첨가하고 이를 분석하였을 때의 회수율은 93∼106%로 높은 수준이었다. 체육학과 남학생중 웨이트 트레이닝 단련자와 비단련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단기간의 웨이트 트레이닝에 따른 뇨중 3-methylhistidine 함량의 변화는 두 집단 모두 웨이트 트레이닝후의 3-methylhistidine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 modified method is given for the precolumn derivatization and subsequent 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ic seperation of 3-methylhistidine from urine. The elution contained isocratic solution with acetonirile and 10 mM sodium phosphate(pH 7.5) requires less than 7 min. The recoveries of 3-methylhistidine from urine control were 93% to 106%. 3-Methylhistidine determinations were performed on urine samples from volunteers who were both male trained and non-trained physical undergraduates. As the result, urinary 3-methylhistidine content of volunteer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weight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