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인지언어학의 이론 중 하나인 영상도식과 그릇도식을 통해 한·중 차등 비 교문 속 비교결과인 중국어 ‘小’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표현을 연구하고자 한 다. AI 허브라는 인공지능 학습용 병렬 데이터에서 한·중 차등 비교문의 용례들을 내려받고, 그 중 비교결과 중국어 ‘小’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원형 표현인 ‘작다’ 외의 확장 의미 표현을 정리하며 언어의 다의성을 역동성과 유연성으로 자연스럽게 설명 되는 영상도식으로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영상도식의 논리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그릇도식을 통해 중국어 ‘小’와 한국어 원형의미인 ‘작다’ 외의 확장 의미 표현 들을 도식화로 살펴봄으로써 한·중 차등 비교문의 의미관계를 좀더 자세히 고찰하고자 한다.
Through image schematics and container schematics, one of the theorie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aims to study various expressions of Korean corresponding to the Chinese “small”, which is the result of comparison in the Korean-Chinese comparison. We would like to download examples of Korean-Chinese comparisons from parallel data for AI learning called AI hubs, organize extended semantic expressions other than “small”, which correspond to Chinese “small”, and examine the semantic relationship through image schematics and bowl schematics. In addition, for this study, we would like to first analyze and organize prior studies, then extract examples, and then organize and analyze the extracted examples, and then organize and analyze the extracted examples. This study not only has novelty and contribution to research with a cognitive approach academically, but also educationally, it is expected that Korean and Chinese language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eech from different angl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