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은 한반도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삶에 가장 큰 전제이다. 반면, Z세대 청년인 대학생들의 분단 에 대한 관심은 점차 퇴색되고 있다. ‘분단 3세대’인 대학생들에게 하달식으로 주입되어 온 ‘민 족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공감과 내재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통일에 대한 필요성에 대 하여 인식이 점차 낮아지는 사회적 추세도 자연스러운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민주적 평 화통일을 준비하는 것은 대한민국 국민의 헌법적 과제이기에 미래세대의 주역인 대학생들에게 적합 하고도 효과적인 통일교육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된다. 새로운 통일교육의 출발점은 대학생들의 관 심이 높은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런데 통일교육의 방법이나 내용보다 더 절실한 것은 통일교육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갖추는 일이다. 대학에서의 통일교육의 현황 점검과 한계 극복 방안을 모색을 위해서 Z세대 대학생의 특성에 맞는 통일교육 이론으로서 ‘배움의 개조’ 를 활용할 수 있다. 배움학의 핵심 요소인 ‘개조’는 새로운 통일교육에 적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전래의 ‘민족 적 당위’를 주입하는 방식의 통일교육보다 실용성과 함께 평화·인권·정의·민주 등 이 시대의 청년 들도 공감하는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통일교육이 가능하다. 높은 긴장감 속에서 70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장기적 분단상황의 모순성을 직시하고 미래세대 주역인 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정치적 환경을 자신의 문제로 인식한 후 최적의 대안을 주도적으로 모색하도록 돕는 방식의 통일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통일교육에 대하여 새로운 이론이 접목된 대학생 통일교육은 현재의 비합리적 분단상황 개선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대학생들이 참여하여 토론을 주도하며 각자가 개조의 실천에 나설 수 있도록 조력하는 교육이다. 개조는 개인이 자신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 기존과 다르게 인식하고 행동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자신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에 적응해서 살기보다는 상황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재설계하며 바람직한 변화 모색을 지속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presents a new theoretical basis for unification education. Reformatting, a key element of Erudition, becomes a new theoretical foundation. Division is the biggest premise for the lives of young people living on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the concern about the division of university student, the Z generation youth, is gradually fading. It is difficult to expect empathy and internalization of the 'necessity of national unification' that has been instilled i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third generation of division', and the social trend of gradually lower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unification can also be understood as natural. However, since preparing for democratic and peaceful unification is a constitutional task for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need for appropriate and effective unifica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leaders of the future generation, is strongly emerging. The starting point of a new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fromthe economic and practical aspects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interested in. However, what is more urgent than the method or content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o hav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Reformatting, a key element of Erudition studies, becomes a theoretical foundation suitable for a new unification education. A new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common perception of universal values such as peace, human rights, and democracy that young people of this era can sympathize with, along with practicality, is possible rather than traditional unification education that instills national justification. Faced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long-termdivision situation that has lasted for more than 70 years amidst high tensio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leaders of the future generation, recognize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ir lives as their own problems, and then take the initiative in finding the best alternative. It is to implement unification education in a way that helps to find it. Unification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corporating new theorie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is an education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social discuss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irrational division situation, lead discussions, and help each one to practice reformatting. Reformatting is not only an individual's own change or change in perception, but also a specific effort to reconstruct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on their own.